19일 미국과 중국의 경제수장이 참석한 ‘포괄적 경제대화’가 서로 얼굴만 붉히고 끝났다. 매년 채택했던 공동성명도 없었고 예정된 기자회견은 취소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4월 초 정상회담에서 “100일 안에 양국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대책을 마련한다”고 합의했으나 그 100일은 16일로 끝나고 시한 연장 등 최소한의 새로운 합의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번 회담이 성과 없이 끝남에 따라 미 행정부의 중국산 철강에 대한 관세 부과 등이 수일 내에 이뤄질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회담의 실패는 단지 미중 간의 무역관계만이 아니라 북핵과 긴밀히 연결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중국이 북핵 해결에 역할을 해준다면 무역에서 양보할 수 있고,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의 결렬은 미국이 중국에 대한 경제보복 유보를 지렛대 삼아 북핵 해결에 중국의 협조를 얻어내려는 계획이 실패로 돌아갔음을 의미한다.
“내주 중 미국 행정부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러시아 기업을 겨냥한 독자제재를 발표한다”는 보도도 나온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추가제재는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이 최근 시험 발사한 미사일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이 아닌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라고 주장하며 무산시켰다. 안보리 상황도 미국 독자제재로 갈 수밖에 없게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