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8월 9일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
그가 남긴 첫 마디 “슬프다”
그는 정말 슬펐다.
42.195km를 쉼 없이 달려 제일 먼저 결승선을 통과한 그가
제일 먼저 한 일은 고개를 숙이는 것.
고개를 숙였다.
독립 후, 그는 말했다.
“독일 군악대가 연주하는 기미가요보다 운동장 한 구석에서 들려오는
애국가 소리가 더 크게 들려 고개를 들 수 없었다.”
※기미가요(君が代): 일본 국가(國歌)
‘손긔졍.’
2시간 29분 19초.
당시 올림픽 최고기록으로 마라톤 정상을 차지한
금메달리스트가 사인북에 쓴 세 글자
일본 기자는 ‘왜 한자로 이름을 쓰지 않냐’고 물었다
손기정이 답했다.
“한글이 획수가 더 적다.”
거짓말이었다.
“우리나라 일장기가 나를 응원하였습니다.
큰 기를 휘두르며 ‘6㎞ 남았다’고 외쳐….”
“시상대에 우리가라 국가(기미가요)가 엄숙하게….”
일본은 그를 데려다 선전 음반을 만들었다.
이후 손기정은 점점 알아들 수 없는 목소리를 낸다.
그때 들려오는 한마디 “크게 읽어.”
손기정은 끝내 “내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 전체의 승리”라고 말을 이었다.
우리나라는 일본이었다.
경성에 있던 한 신문사는 생각이 달랐다.
동아일보는 그달 13일자 신문에서
손기정 가슴에 있던 일장기를 지웠다.
이길용(당시 37세) 체육 주임기자.
‘운수 좋은 날’을 쓴 소설가로 유명한 현진건 당시 사회부장 등.
이 일로 동아일보 기자들이 차례로 서울 종로경찰서에 붙들려 갔다
동아일보는 무기 정간(停刊) 처분을 받았다
“여름이었으니까 유치창 안으로 속옷과 와이셔츠를 여러 차례 들여보냈지요.”
“나오는 와이셔츠는 언제나….”
“피투성이였습니다.”
이 기자의 아내 정희선 여사
그래도 이 기자는 굴하지 않았다.
그는 이렇게 썼다.
“이 나라의 아들은 손 선수를 왜놈에게 빼앗기는 것 같은 느낌에
그 유니폼 일장 마크에서 엄숙하게도 충격을 받았다.”
“면소니 군청이니 또는 조재소니 등등의 사진에는 반드시 일장기를 정면에 교체해 다는데
이것을 지우고 싣기는 부지기수였다.”
“이러한 우리로서 어찌 손기정 선수 유니폼에 선명했던 일장 마크를 그래도 실을 수 있을 것인가.”
※신문기자 수첩(1948년)
결국 동아일보는 279일 동안 정간 당했다가
이듬해 6월 1일 다시 세상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이 기자는 해방이 될 때까지 다시 동아일보에서 일할 수 없었다.
1945년 사업부 차장으로 복직한 이 기자는 1948년 야구대회를 만든다.
단일 언론사 주최로 가장 긴 역사를 자랑하는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다.
그가 없었다면 손기정뿐 아니라 메이저리그에서 한국을 빛낸 스타도 없었을지 모른다.
단, 이 기자는 6·25전쟁 중 납북 돼 그 후 소식은 알 수가 없다.
그렇다고 그가 완전히 잊혀진 건 아니다.
한국체육기자연맹에서 그해 최고 체육기자에게 주는 상 이름은
‘이길용 체육기자상’이다.
그는 1948년 ‘신문기자 수첩’에 7쪽 분량으로 이렇게 후기를 남겼다.
“세상이 알기로는 백림(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의 일장기 말살사건이
이길용의 짓으로 꾸며진 것만 알고 있다.”
“그러나 사내의 사시(社是)라고 할까. 전통이라고 할까.
방침이 일장기를 되도록 아니 실었다. 우리는 도무지 싣지 않을 속셈이었던 것이다.”
“동아일보에서 일장기를 지우는 건 차 마시고 밥 먹는 것처럼 흔한 항다반사(恒茶飯事)였다.”
황규인 기자 kin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