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책속의 이 한줄]‘힐링 휴양지’ 오염시키는 자본주의 나그네

입력 | 2017-08-14 03:00:00


《 여행이여, 이제 그대가 우리에게 맨 먼저 보여주는 것은 바로 인류의 면전에 내던져진 우리 자신의 오물이다.―슬픈 열대(클로드 레비스트로스·한길사·1998년) 》
 
연초 휴가 때 라오스 메콩강변의 휴양지 루앙프라방에서 1주일을 보냈다. ‘힐링 여행’을 목표로 세우고 온종일 일광욕을 하고 낮잠만 자는 일정을 짰다.

나루터 모래톱에 누워 게으름을 즐기던 어느 날이었다. 강 건너편에 다홍색 법의(法衣)를 입은 동자승 여럿이 눈에 띄었다. 대여섯 살 남짓한 꼬마스님들은 커다란 바위에서 술래잡기를 하거나 강물 속으로 풍덩풍덩 뛰어드는 놀이에 빠져 있었다.

나른하고 평화롭던 분위기는 기자의 감자칩 봉지 뜯는 소리와 함께 깨졌다. 물놀이에 몰두했던 아이들이 과자에 눈길을 떼지 못한 채 몰려들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도 사 달라’고 조르거나 과자를 베어 무는 시늉과 함께 황홀한 표정을 지었다. 바지주머니 속 지갑을 가리키며 깔깔거리는 아이도 있었다.

성화에 못 이겨 아이들과 함께 인근 슈퍼마켓을 찾았다. 과자 몇 봉지를 고르고 지불한 돈은 4만 킵(약 5000원). 라오스 노동자의 이틀 치 수당에 해당하는 적잖은 금액이었다. 아이들은 순식간에 과자를 먹어치웠고, 몇은 빈 봉지를 뒤적이며 아쉬움을 달랬다.

그 모습들을 보며 순간 과자를 괜히 먹었다는 후회가 머릿속을 스쳤다. 이곳에서 외국인 관광객은 중요한 밥줄인 동시에 이 고장의 물가를 전국에서 가장 살인적인 수준으로 만든 주범이었다. 아이들은 애교를 앞세워 간식을 얻어내는 방법을 학교도 들어가기 전부터 일찌감치 체득했다. 이날 과자를 사주며 일깨워준 건 ‘돈 많은 사람에게 잘 보이면 좋은 일 생긴다’는 처세술이었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에 따르면 이는 외국인들이 수백 년 전부터 지구 곳곳의 토착문화를 어지럽혀 온 전형적인 방식이다. 여행객 사업가 농장주 선교사 등은 압도적인 자금력을 앞세워 물질문명의 사고방식을 이식했다. 여러 문명들이 20세기 초반 이미 ‘단일 품종화’된 것도 여기서 비롯됐다. 어떤 오물이나 티도 남기지 않고 다녀올 만한 휴가지가 우리에겐 얼마나 남아있을까.

천호성 기자 thousan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