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내신 연계 안 되고 ② 변별력 대책 없고 ③ 대학 의견 안 들어 절대평가 지지자들도 ‘정부 2안’ 반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이 나온 뒤 7개 과목 전 과목을 절대평가하는 내용의 2안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수능절대평가 지지자들까지도 수능과 내신을 연계한 고려가 이뤄지지 않았고, 대안 제시가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를 주장해왔던 이찬승 교육을바꾸는사람들 대표는 13일 “수능은 대입전형, 내신평가, 학점제 도입, 교과서 편제, 고교 체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요소들 간 상호작용을 면밀히 검토한 후 결정해야 한다”면서 “연관 요소에 대한 종합적 검토 과정이 없어 역기능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절대평가 전환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몇 등급으로 나누는지, 내신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지 등에 따라 수능 절대평가 도입의 성패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 과목 절대평가를 도입하더라도 내신 9등급 상대평가 체제를 그대로 놔두면 고교 학점제 도입이 불가능하고, 수능 절대평가 도입의 취지인 학교교육 내실화에도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이 대표는 전망했다. 정부는 일단 2021학년도 입시에서 내신은 현재와 같은 9등급 상대평가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대선 기간에 문재인 캠프에서 활동한 이범 교육평론가는 전 과목 절대평가 안에 대해 ‘변별력 논란에 대한 해결책이 없는 반쪽짜리 시안’이라고 평가했다. 동점자 가운데 합격자를 가려낼 기준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것. 이 평론가는 “수능 등급에 내신성적 또는 면접 성적을 더하거나 수능 동점자에게 원점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등급제와 점수제를 병행하면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한다”며 “정부가 기존의 시안을 보완해 ‘제3의 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학생 선발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의 입장도 반영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주요 대학의 입학처장들은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교육부 관계자와 만나 전 과목 절대평가로는 정시 전형을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치르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했지만 전 과목 절대평가 안이 최종 2개 안에 포함됐다.
대학들이 과거 입시자료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상당수 학과에서는 정시전형 모집인원보다 수능에서 같은 등급을 받은 지원자 수가 더욱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한 대학의 입학처장은 “전 과목 절대평가가 적용되면 대학으로서는 추가적인 전형요소를 도입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며 “기존 정시는 수능 점수만 제출하면 됐지만 앞으로는 대학별로 다른 요구사항에 맞추느라 수험생들이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