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를 탈고한 뒤 박경리 선생과의 인터뷰가 실린 동아일보 1994년 8월 25일자 15면.
속삭이듯 물었다.
그 순간 서희는 자신을 휘감은 사슬이 요란한 소리를 내며 땅에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
“만세! 우리나라 만세! 아아 독립 만세! 사람들아! 만세다!”
외치고 외치며, 춤을 추고, 두 팔을 번쩍번쩍 쳐들며, 눈물을 흘리다가는 소리 내어 웃고, 푸른 하늘에는 실구름이 흐르고 있었다.’
소설 ‘토지’의 작가 박경리 선생. 동아일보DB
작가 박경리 선생(1926~2008)의 소설 ‘토지’는 이렇게 끝을 맺는다. 구한말을 배경으로 시작된 소설 ‘토지’의 마지막 시간은 1945년 광복의 그날 8월 15일. 그가 25년에 걸쳐 써온, 원고지 4만 장 가까운 대작을 마친 시간도 1994년 광복절 새벽이었다.
작가는 탈고 뒤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담담하게 소감을 밝혔다. “지난 15일 새벽 2시쯤 소설을 끝냈습니다. 우연하게도 마지막 장면인 1945년 8월 15일을 광복절에 마친 셈이에요. 처음에는 1부로 끝낼 생각이었는데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지….”(동아일보 1994년 8월25일자)
작가의 집필기도 투쟁에 가까웠다. 토지 1부를 연재할 때는 유방암으로 오른쪽 가슴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고는 보름 만에 퇴원해 가슴에 붕대를 감은 채 밤새워 글을 썼다. 2부 때는 사위 김지하 시인이 구속돼 외손자들을 손수 돌보며 원고를 썼다. 그 스스로 “내게서 삶과 문학은 밀착되어 떨어질 줄 모르는, 징그러운 쌍두아(雙頭兒)였단 말인가”라고 고백했을 정도다. 이렇게 완성된 그의 작품은 “‘소설이란 무엇인가’에서 ‘우리 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으로의 전환을 촉진케 한 계기를 마련해준 곳에 ‘토지’가 지닌 문학사적 의의가 있을 것”(문학평론가 김윤식)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한국문학의 걸작으로 자리매김했다.
1980년대에 방영된 드라마 ‘토지’의 한 장면. 동아일보DB
작가는 탈고 3년 뒤인 1997년 8월 15일 광복절에 1980년부터 거주해온 강원 원주에서 토지문화관 기공식을 가졌다. 이후 후배 작가들이 머물면서 많은 작품을 배출해내는 창작공간이 됐다.
2011년 토지문화재단과 박경리 문학상위원회, 동아일보사가 ‘박경리 문학상’을 공동 제정, 국내외 작가들에게 수여하고 있다. 제1회 수상자 최인훈 씨를 비롯해 이스라엘 소설가 아모스 오즈, 케냐 소설가 응구기 와 시옹오 등 해마다 노벨문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는 유명 작가들이 이 상을 받았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