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문화好통/유원모]“쌓아온 성과 어쩌라고”… 젊은 인문학자들의 하소연

입력 | 2017-08-23 03:00:00


유원모 기자

21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ECC 극장에는 전국의 인문학자 190여 명이 모였다. 이들이 모인 이유는 최근 교육부가 ‘인문한국(HK)플러스 지원사업’에서 기존 43개 인문한국(HK)연구소를 신규 지원 대상에서 일괄 배제키로 한 방침이 알려지면서 이에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기 위해서다.

김성민 인문한국(HK)연구소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건국대 철학과 교수)은 “200명 가까운 인문학자들이 정부 정책에 반발해 한자리에 모인 것은 근대 대학 체제가 확립된 후 처음”이라고 말했다. 공동성명에 서명한 교수는 계속해서 늘어나 540명에 이르렀다.

이들 중 눈에 띄는 건 젊은 학자들이었다. 박은영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교수는 한중일 3개국의 근대사를 함께 다루는 ‘동아시아사’를 연구하고 있다. 그는 “학과 소속이 아니라 연구소 소속이라 민족이나 국가 단위의 연구가 아닌 주제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었다”며 “연구소 중심 체제를 갖춘 해외 선진국들과 이제야 비슷한 환경을 갖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뿐 아니다. ‘제국’을 중심으로 동서양을 넘나들며 제국사를 연구하는 최진묵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인공지능(AI)을 현대 프랑스 철학과 결합해 의미를 찾아가는 김재희 이화여대 인문과학원 HK연구교수 등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젊은 신진 인문학자들을 다수 만날 수 있었다.

하지만 교육부가 “다른 연구소에 기회를 주고, 신규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는 이유로 이들을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면서 더 이상 연구소에 머무를 수 없게 됐다. 당장 실직이 걱정되진 않을까. 돌아온 대답은 의외였다. 박 교수는 “자리가 중요한 게 아니라 단위 학과를 넘어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해온, 축적된 성과들이 다 사라지는 것이 걱정”이라며 “이공계와 사회과학계엔 수십 개에 달하는 국책연구원이 인문학계엔 하나도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교육부의 의도처럼 새로운 인문학 연구소를 양성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껏 키운 인문학 자산을 유지하는 것 역시 중요한 일이다. 인문학은 공장에서 찍어내듯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국가의 수준은 인문학의 수준과 비례한다는 말도 있다. 인문학 진흥 정책이 국가 정책의 품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