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업도 바닷모래 채취 8월 중단, EEZ서 생산된 물량 1개월 뒤 소진 불량 골재로 부실 레미콘 생산 우려
4일 인천 중구 항동 남항의 바닷모래 업체 야적장이 텅 비었다. 수개월째 바닷모래 채취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런 야적장 풍경이 일상이 됐다.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서울 경기 인천의 레미콘 회사와 건설현장에 필요한 바닷모래는 월 100만 m³ 정도다. 그러나 지난달 말 정부가 허가한 옹진군 굴업도 해상 바닷모래 채취 물량이 소진되면서 수도권 바닷모래 수급이 차질을 빚고 있다. 현재 인천 앞바다에서는 EEZ에서 바닷모래가 나오지만 생산량은 월 20만 m³에 그친다. 더욱이 이 물량도 약 1개월 뒤면 다 없어져 ‘바닷모래 파동’이 우려된다.
바닷모래 공급은 환경 보전과 부딪칠 수밖에 없다. 해양수산부는 어족자원 고갈을 비롯한 바다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무분별한 바닷모래 채취를 꼽고 있다. 채취업체에 이전보다 까다로운 해상 안전 및 보전 대책을 요구한다.
한국바다골재협의회는 굴업도 해상 바닷모래 채취 허가가 종료됨에 따라 2018∼2022년 선갑도 인근 해역의 바닷모래 4500만 m³를 채취하기 위해 해역이용협의서를 해수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건축업계는 바닷모래 수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건축 및 구조물 골조공사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더욱이 추석 연휴가 지나면 인천 앞바다 바닷모래 채취가 중단된다. 경인지역 A레미콘 관계자는 “마사토 등 불법, 불량 모래 등으로 레미콘을 생산하는 업체가 생길 수밖에 없다”며 “불량 레미콘은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축물 및 사회간접자본의 부실과 하자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우려했다.
한국바다골재협의회 고성일 부회장은 “바닷모래 채취를 위해 이해관계자 및 어민 보상, 해상교통안전진단, 문화재지표조사, 해양생태계 복원대책 수립 등의 절차를 모두 거쳐야 한다”며 “환경단체나 수협, 언론에서 주장하는 무분별한 바닷모래 채취는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불량 골재로 만든 레미콘은 품질대란을 일으킬 수 있고 피해는 국민에게 고스란히 돌아가는 만큼 정부가 전향적인 태도로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호소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바닷모래 채취 논란과 관련해 “국무조정실이 중심이 돼 국토교통부와 해수부가 협의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부처 간 견해차는 좁혀지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