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동아DB
‘모의’는 끝났다. ‘실전’만 남았다.
수능 바로미터인 평가원 모의고사가 6일 치러졌다. 이로써 수능 시험을 전망할 수 있는 단서는 모두 던져진 셈이다. 두 달여 남은 수능을 앞둔 수험생들은 실전에 대비하는 훈련에 매진하는 일만 남았다.
9월 평가원 모의고사에서 놀라운 적중률을 보인 이감국어교육연구소 김봉소 고문은 이번 9월 평가원 모의평가를 이렇게 분석했다.
◇ 2018학년도 수능 국어의 전망
작년 6월 모의평가에서 올해 6월 모의평가까지 거침없이 난도를 끌어올렸던 국어 시험은 한 차례 숨고르기를 한 것으로 보인다. 1등급 컷이 89점이었던 지난 6월 모의평가에 비해 화제가 될 만한 요소가 풍부하지는 않지만, 이번 9월 모의평가는 6월 모의평가와 함께 11월 수능 시험을 전망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준다는 시각에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1. 독서 : 형식 실험의 계속, 그러나 아슬아슬한 모험
아무튼 평가원은 이런 국어적으로 위험한 형식의 문항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는 작년부터 계속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형식 실험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작년 6월 이후 다양해지고 있는 여러 형식 실험들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겠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의 28번, 32번, 33번 문항, <2017학년도 수능 시험>의 16번, 19번, 35번, 39번, 41번 문항,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의 21번, 23번, 31번, 33번 문항, 이번 9월 모의평가의 18번, 28번 문항을 눈여겨 봐 둘 필요가 있다.
28번 문항의 <보기>에서 보듯이, ‘이진수를 처리하다’, ‘이진수를 연산하다.’, ‘이진수를 나타내다.’는 국어적으로, 혹은 공학적으로 과연 동일한 의미인가? 30번 문항에서 보듯이, 구체적인 내용이 절대로 이해될 수 없는 지문을 던져 주고 개념 수준의 형식적 관계만 적용해서 문제를 풀게 하는 것은 과연 교육적인가? 많은 의문을 떠올리게 되는데, 다가오는 수능 시험에서는 어떤 ‘파격’이 있게 될지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갖게 된다.
2. 문학 : 지문 구성의 다양화
평가원은 문학 지문의 구성에서 이번에도 새로운 조합을 선보였다. ‘201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 이후 단 한 번도 평설, 현대시, 현대소설, 고전시가, 고전소설, 극/수필……, 7개 장르의 구성을 동일하게 조합한 적이 없다. 그중에서도 이번 9월 모의평가에서 문학 영역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난이도가 아니라 평설 지문이 없었다는 점이겠다.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서 1,400자 길이의 고전 시가 평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에서 장장 1,880자 길이의 고전 소설 평설, <2017학년도 수능 시험>에서 1,030자 길이의 현대시 평설,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서 360자 길이의 평설……, 이번에는 평설이 아예 없다.
이종승 전문기자 urises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