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에게 일자리를/청년이라 죄송합니다]새정부 출범 넉달… 취업이 여전히 고달픈 그들 본보 4∼6월 심층보도 135명 추적, 취직 34명에 그쳐… 취업전쟁 허덕 “아직 못한 효도” “사이다는 언제쯤”… 문재인 정부 주력 일자리 정책에 실망
동아일보 특별취재팀이 박 씨를 처음 만난 3월 이후 그는 한 달에 10곳가량 입사원서를 넣었다. 2차 면접까지 올라가 손에 잡힐 듯한 취업은 늘 모래처럼 빠져나갔다. 요즘엔 고민이 하나 더 생겼다. 중국에서 일하고 싶지만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파문으로 중국어 전공자를 덜 뽑아서다. 그럼에도 박 씨는 희망을 놓지 않고 있다. “저에게 취업이란 여전히 ‘언젠가 올 버스’예요. 아직 안 왔을 뿐이죠.”
19일로 취임 133일을 맞은 문재인 정부의 1호 정책은 일자리였다. 이에 맞춰 11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대통령 집무실엔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했다. 하지만 13일 발표된 청년(15∼29세) 실업률은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9.4%)를 기록했다. 청년 체감실업률은 22.5%에 달했다.
4월 본보 취재 때 ‘취업이란 러시안룰렛’이라고 한 김태균 씨(28·서울대 국어국문학과)는 그나마 비좁은 취업문에 바싹 다가서 있었다. 최근 A사의 합숙평가와 임원 면접을 거쳐 최종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김 씨는 “취업이 언제 될지 몰라 ‘러시안룰렛’이라고 했는데, 지금은 방아쇠를 당겼다”며 “이제 나에게 취업은 ‘올인’”이라고 했다. ‘취업이란 효도’라고 한 한정진 씨(24·경일대 기계공학과)는 “현재 한 기업에서 실습교육을 받고 있다”며 “나에게 취업은 ‘아직도 못 한 효도’”라고 했다.
3∼5개월이 지난 현재 취업에 성공한 취준생은 34명(25.2%)이었다. 최악의 통계 수치보다도 현실은 더 암울했다. 106명(78.5%)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청년 일자리 문제가 ‘나아지지 않았거나 오히려 악화됐다’고 했다. 여전히 팍팍한 취업전선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이들은 정부와는 사뭇 다른 해법을 요구했다. 현 정부가 주력하는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이 청년실업 문제의 해답이라는 응답은 14.8%에 그쳤다. 그 대신 ‘규제 완화 등을 통한 민간 기업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응답(41.5%)이 가장 많았다.
김윤종 zozo@donga.com·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