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리더십이 망친 조직사례
1680년 경신환국은 남인의 영수이자 영의정 허적이 복선군의 역모에 연루됐다는 혐의를 받으면서 남인이 축출되고 서인이 정권을 잡은 사건을 말한다. 비상시 군사업무의 총괄 지휘소였던 체부가 역모의 거점으로 밝혀지면서 체부의 설치를 주장했던 윤휴 등 관련된 남인들이 줄줄이 사사됐다. 1689년 기사환국은 숙종이 희빈 장씨가 낳은 아들(훗날 경종)에게 ‘원자’ 호칭을 부여한 것을 서인의 영수 송시열이 비판한 계기로 벌어졌다. 송시열의 상소를 왕권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인 숙종은 송시열뿐 아니라 당시 영의정이었던 김수항 등 서인 세력을 축출했다. 하지만 1694년 갑술환국으로 다시 서인이 집권하게 된다. 남인이 폐비 민씨 복위운동을 계기로 서인의 잔여세력까지 제거하려고 하자 숙종이 개입해 상황을 반전시킨 것이다.
숙종이 통치하기 전까지만 해도 붕당은 갈등하고 대립했을지언정 서로를 죽이고 상대방을 괴멸시키려는 극단적인 대결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예컨대 효종 대에는 서인 재상 김육이 남인 대신 허적과 협력해 대동법을 추진했다. 현종 대에 남인 허목이 서인 송시열과 예송 논쟁을 벌였으나 이론 경쟁만 이어졌다.
서인과 남인이 원수가 된 1차적 책임은 숙종의 리더십에 있다. 서인과 남인은 학문적, 이념적 차이를 지닌 집단으로 국정과 민생의 주요 문제들을 처리하는 방식이나 대안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만약 숙종이 정책이나 선명성 경쟁을 통해 누가 더 나은지 겨루도록 하며 붕당의 공존을 이끌었다면 조선 후기 정국은 상당히 달라졌을 것이다. 숙종의 환국정치는 인조에서 현종 대에 구현됐던 붕당 정치 발전의 시계추를 거꾸로 돌렸다.
오늘날 기업에도 구성원들의 출신과 성향이 다양해지면서 사소한 갈등이 조직 문화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위험이 커지고 있다. 그렇다고 갈등이 그 자체로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특히 서로의 관점과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적 갈등’은 사고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대안을 도출해 낸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갈등을 아예 없애는 것보다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해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오늘날 경영자들이 숙종의 리더십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는 이유다.
김준태 한국철학인문문화연구소 연구원 akademie@skku.edu
정리=배미정 기자 soya1116@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