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규정을 읽어 내려가며 걱정과 우려가 밀려들기 시작했다. 사람이나 역량, 교육에 대한 언급이 단 한글자도 없었기 때문이다. 위원회의 구성도 임기 1년인 25명의 민간위원과 5명의 당연직 위원을 둔다고 하는데 당연직 위원으로는 과기정통부, 중소기업벤처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장관과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간사)만이 참여한다. 누가봐도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사람이 아닌, 기술 중심의 위원회로 출범한다고 보게 되는 대목이다.
급하다고 서두르면 낭패를 보기 쉽상이다. 4차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기술 개발에 전념해야 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본질을 파악해야 가장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얼핏보면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기술이 인간의 삶에 보다 깊이 들어와 마치 기술 지배적인 사회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사람의 지위가 향상되고 사람들이 더욱 긴밀히 연결되며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으로 복합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람 지배적인 사회이다. 즉, 사람과 기술, 과학과 인문학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융복합의 시대가 바로 4차 산업혁명의 본질임을 알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의 변화에 중점해 나가야만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선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슬로건은 ‘사람이 먼저다’였다. 4차산업혁명이라는 새 시대를 항해해야 하는 대한민국호의 선장으로서 문재인 대통령은 이미 해답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답을 이미 손에 쥐고 멀리서 답을 찾으려 하는 형국이 되어서는 안된다. 손안에 쥔 답을 펼쳐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다가오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기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길 바란다.
류태호 美 버지니아주립대 평생교육대 교수·교육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