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한글 사랑했던 이광수, 문인이자 언론인”

입력 | 2017-10-11 03:00:00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
언론인으로서의 춘원 조명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는 “한글 소설 ‘무정’으로 청년들을 열광케 했던 춘원은 한자로 가득찬 신문기사와 논설도 한글로 쉽게 써야 한다고 주 장했다”고 말했다. 동아일보DB

“문인 이광수의 문학적 업적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가 언론인이자 논객으로 활동했던 사실은 별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남선, 홍명희도 언론인으로 큰 발자취를 남겼지만 문인으로만 알려져 있는 것도 비슷합니다.”

한국 언론사 연구의 권위자인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78)가 춘원 이광수(春園 李光洙·1892∼1950)의 언론인으로서의 활동을 실증적으로 조명한 책을 펴냈다. ‘언론인 춘원 이광수’에서 정 교수는 일본 경찰의 비밀 기록과 신문 잡지를 조사하고, 춘원의 글을 찾아내 그의 언론 활동을 추적했다.

정 교수는 책에서 “이광수는 기행문과 회고록으로 자신의 행적을 기록하거나 스스로를 소설의 모델로 삼기도 했다”며 “그의 삶 자체가 일반 대중에게 관심과 논란의 대상이었고 소설보다 더 흥미로운 요소를 고루 갖추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광수는 양친을 여의고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고, 평생 병마와 싸웠다. 그러나 정 교수는 “춘원은 일본 유학을 경험하고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러시아령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운동가들을 직접 만났다”라며 “공간적으로도 그만큼 넓은 견문을 갖추었던 사람은 흔치 않았다”고 했다.

춘원은 1919년 도쿄 유학생 독립선언문을 작성한 뒤에는 상하이로 망명해 임시정부와 긴밀한 관계였던 ‘독립신문’을 발행하면서 창간사를 통해 5가지 사명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독립신문의 개방적인 사실보도 원칙에 대해 적에게 비밀이 누설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춘원은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적의 눈을 가리우기 위하야 동포의 눈을 가리우는 어리석음을 배우지(學) 아니하리라. 또 동포를 격려할 필요를 아노라. 그러나 사실을 과장하거나 한갓 허장성세의 논설로 동포를 속이는 죄를 짓지 아니하리라. 허위나 과장이나 논(論)을 위한 논, 문(文)을 위한 문은 아등의 결코 취하지 아니할 바라.”

춘원은 귀국 후에는 동아일보 편집국장 두 차례, 조선일보 부사장 겸 편집국장으로 재직했다. 동아일보 재직 시절에는 아산 현충사 유적 보존 운동을 벌이면서 역사소설 ‘이순신’을 직접 써서 연재했고, 농촌 계몽과 한글 보급을 위한 브나로드 운동을 할 때는 신문 캠페인 소설 ‘흙’을 연재했다. 정 교수는 “춘원의 문학 활동은 언론인으로서의 활동과도 깊이 연관돼 있었다”고 했다.

정 교수는 “춘원은 일본 유학 시절부터 늘 우리말과 한글의 우수성을 예찬해 왔다”며 춘원이 러시아에서 발행된 ‘대한인정교보’에서 일할 당시에 한글 가로쓰기와 풀어쓰기, 한글 필기체를 제안했던 희귀 자료도 발굴해 소개했다. 그는 “친일 논란에도 불구하고 춘원은 근대문학의 씨앗을 뿌린 개척자이자 끊임없는 논쟁의 중심에 섰던 논객으로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