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글로벌 이슈/박민우]마스리에게 희망 안겨준 이집트 축구

입력 | 2017-10-16 03:00:00


박민우 카이로 특파원

처음에는 국경일인 줄 알았다. 어딜 가든지 빨강, 하양, 검정 등 3색의 이집트 국기가 나부꼈다. 국기를 한 묶음씩 손에 쥔 상인들은 종횡무진 도로를 활보하며 운전 중인 시민들에게 애국심을 호소했다.

이집트에서 사귄 친구 아흐메드 쇼키에게 “도대체 오늘이 무슨 날이냐”고 물었다. 쇼키는 “저녁 7시에 알렉산드리아에서 러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경기가 열린다”며 “경기에 이기면 마스리(이집트인)들이 곳곳에서 도로를 점거하고 난리가 날 테니까 되도록이면 집에 일찍 들어가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집트 국민에게 8일은 정말 국경일과 다름없었다. 이날 이집트 축구대표팀은 콩고를 2-1로 꺾고 무려 28년 만에 월드컵 본선행을 확정지었다. 그야말로 극적인 승부였다. 경기 종료 직전인 후반 추가시간 5분 1-1 동점 상황에서 이집트가 페널티킥을 얻어냈고,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리버풀에서 활약하는 무함마드 살라가 골을 성공시키며 이집트에 러시아행 티켓을 안겼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30위인 이집트는 아프리카의 축구 강국으로 알려졌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다 우승국(7회)이지만 월드컵과는 지독히도 인연이 없었다. 이집트가 월드컵 본선에 올랐던 건 이탈리아에서 열린 1934년, 1990년 등 단 두 번의 대회뿐이다. 이집트 축구팬들은 정말 미칠 노릇이었다고 한다. 한국 대표팀이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밥 먹듯이 하면서도 정작 월드컵에 나가지 못한다면 얼마나 답답했을지 생각하니 고개가 끄덕여졌다.

거의 30년 묵은 한이 풀린 때문일까. 이집트의 월드컵 본선행이 확정된 순간은 마치 한국이 사상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했던 2002년 한일 월드컵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했다. 이집트 수도 카이로에서는 수천 명의 시민이 타흐리르광장으로 쏟아져 나와 국기를 흔들며 커다란 함성을 질렀다. 기자가 거주하는 마디 지역은 도심에서 30분가량 떨어진 곳이었지만 이튿날 오전 2시까지 폭죽과 자동차 경적 소리가 끊이질 않았다.

이집트 축구팬들의 열정은 한국의 ‘붉은 악마’ 못지않다. 특히 훌리건(과격한 축구팬)의 악명이 높다. 2012년과 2015년 이집트 프로축구 경기에서 훌리건 폭동으로 수십 명이 숨지는 사태가 발생하자 이집트 정부는 현재 축구 관람을 A매치(국가대표팀 간 경기)로 제한하고 있을 정도다.

이집트 축구대표팀이 어떻게 월드컵 본선에 오를 수 있었을까. 피파닷컴(fifa.com)은 △안정적인 코칭스태프 △4명의 주요 선수 △살라의 눈부신 활약 △맏형 잇삼 엘하다리의 컴백 △요새, 보르그 엘아랍 스타디움 등 5가지 요인을 성공의 원동력으로 분석했다.

이집트 국민들은 대표팀의 골잡이 살라와 골키퍼 엘하다리를 가장 사랑한다. 러시아 월드컵 예선을 시작할 때 이탈리아 세리에A AS로마의 주요 공격수로 활약하던 살라는 2016∼2017시즌 15골(2위) 11도움(2위)으로 맹활약했다. 리버풀 사상 최고 몸값(4200만 파운드)의 주인공으로 올해 7월 새 유니폼을 입은 그는 소속팀에서 8월과 9월 두 달 연속 이달의 선수로 뽑혔다. 살라는 이번 콩고전에서 2골을 모두 넣은 것을 포함해 월드컵 최종예선 5경기에서 5골을 넣었다.

올해로 44세인 이집트 대표팀 맏형 엘하다리는 2013년 국제무대에서 은퇴했었다. 하지만 올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후배 골키퍼들의 연이은 부상으로 우연히 복귀한 후 월드컵 본선 진출의 주역이 됐다. 그가 내년 월드컵 본선에 출전하게 되면 43세의 나이로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 출전했던 콜롬비아 골키퍼 파리드 몬드라곤 이후 최고령 선수 기록을 갈아 치우게 된다.

사실 이집트 축구의 성공 요인보다는 앞으로의 파급 효과에 더 많은 관심이 쏠린다. 한껏 움츠러들었던 이집트 국민들이 축구 대표팀의 선전에 힘입어 어깨를 펴고 있기 때문이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꿈을 잃어버린 나라가 됐던 한국도 2002년 월드컵을 거치면서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집트는 2011년 2월 시민혁명이 실패로 끝난 뒤 다시 집권한 군부의 철권통치로 자괴감에 빠져 있었다. 경제도 수렁에 빠져 지난해 11월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구제금융을 받은 뒤 30%가 넘는 급격한 물가 상승을 경험했다. 현재 이집트는 빈곤층 비율 27%, 청년실업률 30%를 넘어선 상황이다. 이집트에서 만난 젊은 친구들이 “너도 알겠지만 이집트인들은 게으르고 뭘 해도 안 된다”며 마치 남의 일처럼 조국과 동포를 비난할 때면 늘 마음이 아팠다. 이번 월드컵 본선 진출을 계기로 “할 수 있다”는 분위기가 이집트 시민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길 기대해본다.
 
박민우 카이로 특파원 minw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