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적 서정에 뿌리를 두고 삶의 근원적 의미를 담담하게 노래하는 이상국 시인. 사진 동아일보DB
‘딸애는 침대에서 자고
나는 바닥에서 잔다
그애는 몸을 바꾸자고 하지만
내가 널 어떻게 낳았는데……
그냥 고향 여름 밤나무 그늘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바닥이 편하다
그럴 때 나는 아직 대지의 소작이다
내 조상은 수백년이나 소를 길렀는데
그애는 재벌이 운영하는 대학에서
한국의 대 유럽 경제정책을 공부하거나
일하는 것보다는 부리는 걸 배운다
그애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을 것 같다
내가 우는 저를 업고
별 하늘 아래서 불러준 노래나
내가 심은 아름드리 은행나무를 알겠는가
그래도 어떤 날은 서울에 눈이 온다고 문자메시지가 온다
그러면 그거 다 애비가 만들어 보낸 거니 그리 알라고 한다
모든 아버지는 촌스럽다
그러나 지금은 딸애의 원룸에 가 잔다
물론 거저는 아니다 자발적으로
아침에 숙박비 얼마를 낸다
나의 마지막 농사다
그리고 헤어지는 혜화역 4번 출구 앞에서
그애는 나를 안아준다 아빠 잘 가’
-이상국 시 ‘혜화역 4번 출구’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는 말은 사랑이 부모에게서 자식으로 흐를 뿐 거슬러 오르는 일은 없다는 뜻이다. 뒤집으면 오로지 부모이기에 가질 수 있는 사랑의 마음이기도 하다.
여기 한 아버지가 있다. 강원 양양 출신의 사내다. ‘대지의 소작’인 그가 어느 날 서울의 한 원룸 바닥에 누워 잠을 청한다. 딸아이가 바닥에서 자겠다고, 아버지에게 침대를 쓰시라 하지만 아버지는 고개를 젓는다. ‘내가 널 어떻게 낳았는데….’ 세상의 부모들이라면 누구나 속으로 수없이 했을 말이다.
아버지는 일하는 사람이지만, 딸은 일하는 사람을 부리는 법을 배운다. 이 간극은 아버지가 속한 너른 대지와 딸이 몸을 둔 좁은 원룸의 차이만큼이나 넓다. 그러나 그 넓은 간극을 메우는 것은 아버지가 딸을 업고 밤하늘 아래서 불러줬던 노래다. “아빠 서울에 눈 와”라는 딸의 문자메시지에 아버지는 “그거 다 애비가 만들어 보낸 거니 그리 알아라”라고 답 문자를 보낸다. 그럴 때 서울과 시골의 먼 거리, 아버지와 딸이 다르게 속한 시간은 단숨에 메워진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