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화재때 바닥에 대피안내 불빛… 사람들 몰리면 분산 유도

입력 | 2017-10-31 03:00:00

[4차 산업혁명 이끄는 K-스마트시티]<2> 첨단기술 문여는 국내 스타트업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스마트 재난 대응 시스템(왼쪽 사진)과 스마트 바닥 신호등(오른쪽 사진) 등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신기술이 국내 스타트업에 의해 잇따라 상용화되고 있다. 코너스·아이티에스뱅크 제공

대형 백화점에 화재가 발생하면 내부에 설치된 각종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연기와 온도, 유독가스 등을 즉시 감지한다.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파악한다.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바닥의 조명을 켜 사람들을 대피 경로로 유인한다. 사람들이 한쪽으로 몰려 혼잡한 지역이 발생하면 대피 경로를 실시간으로 재설정해 알려준다.

국내 스타트업 ‘코너스’가 개발한 IoT 기반의 지능형 재난 및 대테러 대응 시스템인 ‘스마트 안전에이전트’가 작동하는 모습이다. 현재 부산도시철도 2호선 일부 역과 롯데백화점 부산센텀시티점, SK하이닉스 청주공장 등에서 실제 가동되고 있다.

최근 국내 스타트업 등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구현할 신기술의 상용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급성장하는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을 선점하려면 이런 기술력을 가진 스타트업을 적극 육성하고 민간 기업과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선순환의 산업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한국이 스마트시티를 발판 삼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선도 국가로 도약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 스마트시티 조성에 앞장선 스타트업

국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은 교통, 안전, 상하수도, 환경 등 스마트시티를 이루는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교통안전 시스템 회사인 아이티에스뱅크는 신호등을 설치하기 어려운 교차로의 바닥에 발광다이오드(LED) 장치를 설치하는 ‘스마트바닥신호등’을 개발했다. 사람이나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음성 안내와 함께 불빛이 점멸하며 위험 신호를 보낸다. 이종선 아이티에스뱅크 대표는 “보행자들이 스마트폰을 보느라 바닥 쪽을 보고 걷는 데서 착안한 기술”이라며 “운전자에게도 과속이나 다른 차량을 주의하라고 경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시스템은 서울 강서구, 경기 부천시 등 전국 300여 곳에 설치돼 있다.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 수출에 성공한 회사들도 있다. 미국 통신회사 AT&T는 국내 시각화 솔루션 회사인 엔쓰리엔(N3N)의 ‘이노와치(INNOWATCH)’를 이용해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등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고 있다. 이노와치는 IoT를 이용해 교통, 날씨, 장비 등 각종 데이터와 지도, 영상 등을 한꺼번에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이다. 글로벌 통신장비회사 시스코가 최근 인도의 자이푸르에 스마트시티를 조성한 프로젝트에도 이 솔루션이 이용됐다. 엔쓰리엔은 2014년 시스코의 투자를 받아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세계 각국이 스마트시티 구축에 나서면서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마켓&마켓은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16년 4246억 달러(약 478조 원)에서 2022년 1조2017억 달러(약 1352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성장하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주형 한양대 건축공학부 교수는 “신도시를 개발해 온 우리만의 경험과 강점을 접목하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며 “다양한 기술이 자립할 수 있도록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 민간 참여 활성화로 선순환 생태계 구축

그간 한국의 스마트시티 사업은 정부가 주도해왔다. 전문가들은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민간 기업과 시민의 참여를 활성화해야 성공적으로 스마트시티를 조성할 수 있다고 말한다. 스마트시티를 통해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황종성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위원은 “유럽처럼 시민의 활발한 참여 속에 생활현장에서 기술을 연구하고 시민의 피드백을 통해 보완하는 형식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기술에 민감한 스타트업은 이를 위한 첨병 역할을 한다. 류승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소장은 “지역을 가장 잘 이해하는 지방자치단체로 주도권을 넘겨주고 그 안에서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를 위한 움직임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경기 고양시는 작년 12월 ‘스마트시티 지원센터’를 만들었다. 스마트시티 기술 관련 스타트업이 무료로 입주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IoT 서비스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도 기업이나 예비 창업자, 일반 시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도 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에 2020년 스마트시티 관련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인큐베이팅존을 열 계획이다. 지자체는 입주 기업을 통해 지역에 필요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발굴하고 기업은 이곳을 테스트베드 삼아 각종 기술을 구현해볼 수 있다. 한응문 LH 스마트도시개발처 부장은 “스타트업과 시민이 참여하는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 같은 스마트시티 허브 구축 사업을 다른 지자체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애진 jaj@donga.com·손가인·정임수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