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2만대 확충 계획 난항
서울시가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연내 2만 대까지 늘리려고 대여소를 물색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이 적지 않다. 홍정수 기자 hong@donga.com
따릉이를 위탁 운영하는 공단 직원은 보도 폭이 넉넉하고 차도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아 자전거 운반 차량을 대기에 수월한 공간을 찾는 중이었다. 하지만 상인들은 “여기는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공간이 아니다. 상권 침해 아니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상점에 자재를 들여오는 차량이 오가야 하는데 대여소가 생기면 어떡하느냐는 얘기였다. 자전거가 지나다니면 손님에게 방해가 된다는 사람도 있었다. 결국 공단 측은 대여소 후보지에서 이곳을 제외했다.
2015년 10월 달리기 시작한 서울시 따릉이가 두 돌을 넘겼다. 앞서 박원순 서울시장은 3월 지난해 5600대이던 따릉이를 연말까지 2만 대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대여소를 설치하려는 공단과 “우리 가게(집) 앞에는 안 된다”는 주민 사이 갈등이 적지 않다.
주로 지하철역 주변 일반 자전거 거치대가 고장 난 자전거와 쓰레기로 방치되는 일이 많아지면서 이에 대한 인식이 나빠진 점도 영향을 미쳤다. 공단은 중랑구 상봉지하차도 입구에 대여소를 둘 계획이었지만 7월 취소됐다. 지하철 7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환승역인 상봉역과 대형 쇼핑몰 사이에 있어 수요는 많았다. 그러나 인근 아파트 주민들이 ‘집값 떨어진다’며 격렬히 반대했다. 공단 관계자는 “따릉이 대여소는 자전거 수를 조정하기 위해 매일 관리한다. 여름 내내 설득했지만 아파트 입주자대표 등이 구·시의원까지 동원해 반대해 철회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따릉이 대여소 후보지 가운데 실제 대여소는 세 곳 가운데 두 곳 수준으로 설치된다. 현장에서는 “연내 2만 대 목표를 실현하기 어렵다”는 푸념도 나온다.
각 자치구가 설치한 일반 자전거 거치대를 활용하자는 의견도 있다. 공단 공공자전거운영처 제삼차 부장은 “미관도 살리고 효율성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지만 자치구 협조를 일일이 구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따릉이 가입자가 늘면서 ‘얌체’ 이용자도 덩달아 늘어난다. 따릉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2분 단위로 예약과 취소를 반복해 다른 사람이 못 쓰게 만드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광진구에서 일하는 직장인 이모 씨(30)는 “분명 대여소에 자전거가 있는데도 앱에는 ‘빌릴 수 있는 자전거가 없다’고 뜨더라. 알고 보니 앱으로 자전거를 ‘찜’해 놓은 사람들 때문이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서울 외곽에서 자전거를 타고 경기도에서 내린 뒤 제대로 반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따릉이 운영센터에 전화를 걸어 “죄송하지만 따릉이를 가져가 달라”고 부탁하기도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꼼수 이용을 막을 수 있도록 하반기에 시스템을 개선해 내년 상반기부터 앱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