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신문과 놀자!/피플 in 뉴스]파월 연준 의장과 세계의 경제 정책

입력 | 2017-11-08 03:00:0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후임으로 제롬 파월 연준 이사(64·사진)를 지명했습니다. 연준은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에 해당합니다. 금리, 물가, 경제 정책을 이야기할 때 자주 언급되는 이름입니다. 연준은 미국뿐 아니라 세계 경제와 통화 정책에 막강한 영향을 미칩니다.

일단 국내외 시장은 비교적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파월은 통화 완화를 선호하는 시장 친화적 온건파(비둘기파)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막판까지 파월 지명자와 경합한 존 테일러 스탠퍼드대 교수는 강경파(매파)이기 때문에 경계하는 분위기였다고 합니다. 시장은 급격한 통화 긴축을 부담스러워한다는 의미로 읽힙니다.

현행 연 1.25%인 기준금리는 작년 6월 이후 17개월 연속 동결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기준금리 동결 행진이 막바지를 향해 치닫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경제가 살아나고 있고 고용과 물가에 긍정적 신호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지요. 인상 시기의 문제이지 방향을 되돌릴 가능성은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금리는 한국은행에 설치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결정합니다. 금통위가 금리 조절을 통해 추구하는 최고 목표는 물가 안정입니다. 경기가 활성화되면 금리 인상을 통해 물가를 진정시키고, 경기가 안 좋아지면 금리를 내려 소비와 투자를 유도하는 것이죠. 미국 연준의 정책은 우리나라 금통위의 결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국은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외국 자본의 증권 시장 이탈 우려가 커집니다. 앞으로 연준이 0.25%포인트씩 2, 3차례 금리를 올리면 시장이 요동칠 수 있습니다.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환율 인상으로 수출 기업들의 실적은 좋아지고 금융이나 보험업의 주가가 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자재 등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인해 국내 제조업에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여행업계나 유학한 자녀를 위해 해외 송금을 해야 하는 가계는 더 많은 원화가 필요하니 힘들어지겠지요.

최근 우리나라 국민은 금리에 무척 민감합니다. 자산에서 주택 등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무척 높은 데다 주거비용의 상당 부분을 대출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1400조 원에 육박하는 가계 부채가 경제의 발목을 잡는 뇌관이 될 수 있습니다. 올 10월 금통위 회의 직후 “통화 완화 정도를 줄여나갈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고 밝힌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가계 대출의 경우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65%가 넘습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대출을 규제하면 가계부채 총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지만,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늘어나 한계 가구의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고 가처분 소득 감소로 내수 경제의 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자세로 다가오는 잠재적 위험에 적극 대비하며 재도약을 위해 웅크릴 때입니다.
 
박인호 용인한국외대부고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