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파워리더 인터뷰]“신고리 5,6호기 건설은 한국 산업 미래 밝혀줄 원동력”

입력 | 2017-11-13 03:00:00

신장열 울주군수




신장열 울산 울주군수는 “공론화위원회의 신고리 5, 6호기 건설 재개 결정을 두 팔 벌려 환영한다”고 말했다. 신 군수는 “이제 갈등을 모두 떨쳐버리고 후세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가 공존하고 상생하는 방법을 찾자”고 역설했다. 울주군 제공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위원회’는 지난달 20일 공사 재개 권고를 결정했다. 그날까지 공론화위가 활동한 3개월 동안 한국 사회는 원자력발전소(원전) 건설 찬반 논쟁이 증폭되면서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 이 과정과 공론화위 결정을 누구보다 가슴 졸이며 지켜본 사람이 있다. 원전 신고리 5, 6호기를 짓고 있는 울산 울주군 신장열 군수다.

신 군수는 공론화위 발표 직후 기자회견장에서 감격한 목소리로 “신고리 5, 6호기 건설 재개 권고안을 두 팔 벌려 환영한다”고 말했다.

신 군수는 최근 진행된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도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했다. “비록 사회적 합의 과정은 힘들었지만 참여민주주의의 새로운 역사를 열었습니다. 가치 있는 경험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신 군수는 “신고리 5, 6호기 건설 재개 결론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전 군민의 단합된 힘과 헌신 덕분”이라며 “9월 6일 울주군민체육관에서 3000여 명이 모여 한목소리 한마음으로 외쳤던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 반대’가 시민참여단 귀에까지 전달돼 좋은 소식으로 메아리쳐 돌아왔다”며 활짝 웃었다.

그는 한국수력원자력이 개발한 한국형 차세대 원전(APR-1400)의 유럽형 모델인 ‘EU-APR’ 표준설계가 최근 유럽사업자요건(EUR) 인증심사를 통과함으로써 한국이 원전 강국임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APR-1400은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한 바라카 원전과 같은 모델. 신고리 5, 6호기와 현재 운영허가 심사가 진행 중인 경북 울진군 신한울 1, 2호기도 같은 모델이다. EUR 심사 통과는 세계 다섯 번째다.

신 군수는 “신고리 5, 6호기 건설은 한국 산업의 미래를 밝혀줄 원동력이며 미래 에너지 정책의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아울러 명실상부한 원전 강국임을 확인한 만큼 이제 원전 수출 수주와 국가 에너지 안보에도 큰 힘이 실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신고리 5, 6호기 건설 공사가 재개되면서 울주군은 2조 원 넘는 막대한 세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1년과 2022년 각각 가동 예정인 신고리 5, 6호기 운전 기간은 60년. 그 기간에 발전량 1kW당 1원씩 모두 1조4400억 원의 지역자원 시설세를 한수원에서 받는다.

또 매년 70억 원씩 60년간 납부되는 지방소득세(법인분) 4200억 원과 매년 30억 원가량인 재산세 및 주민세 1800억 원, 가동되면 일시불로 받는 취득세 600억 원 등 60년간 걷어 들일 세금만 2조1000억 원이다.

이 밖에 원전 건설 및 가동 기간에 1kW당 0.25원씩 지원되는 원전기본지원금 2500억 원과 건설 기간 나오는 특별지원금 1182억 원도 군 재정 확보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시불인 취득세와 세수에 포함되지 않는 원전지원금, 울산시와 나누는 지역자원 시설세를 제외하더라도 매년 정기적으로 확보되는 세금만 256억 원이다.

울주군은 원전기본지원금 중 150억 원을 들여 원전 인근 서생면 간절곶 스포츠파크에 야구장을 건립할 계획이다.

신 군수는 “신고리 5, 6호기 건설을 둘러싼 갈등을 모두 떨쳐버리자. 후세들이 맑고 깨끗하면서도 안전한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가 상생 공존하는 방법을 찾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신장열 울주군수: 1952년 울산 출생. 울산대 석사. 1979년 경남도 공무원 시작. 울산시 주택과장 건축행정과장 도시국장(2005년), 종합건설본부장(2006년), 울주군 부군수(2007∼2008년) 역임. 제4∼6대 울주군수(2008년 10월∼현재).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