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학원 가는 아이들]<中> 부모 불안감이 아이의 아픔으로
학원 수업이 끝난 저녁 한 학부모가 두 자녀를 데리고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거리를 걷고 있다. 동아일보DB
급기야 1년여 후 A 양은 끊임없이 머리카락을 뽑는 강박장애까지 생겼다. 병원 상담치료 과정에서도 ‘다른 애들은 정석 ○○단원까지 나갔겠죠?’라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 남의 아이에 중심 둔 사교육
김의정 이대목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교육특구로 꼽히는 서울 목동의 어린아이들에게서 △우울·불안장애 △틱장애 △복통 등 신체화 장애가 흔히 관찰된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초등 저학년 아이들이 ‘배가 아프다’ ‘목에 뭐가 걸린 것 같다’고 호소하며 먹지도 못하고 설사를 해서 소화기내과 쪽으로 입원하지만 위내시경까지 다 검사를 해도 정상이면 정신건강의학과와 협진한다”며 “어린아이들은 본인의 스트레스를 말로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보니 이런 신체화 장애로 발현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전문의들은 통상 유아기∼초등 저학년까지는 우울감을 보이면서도 순응하지만 초등 고학년∼중학교로 갈수록 극단적인 반항과 비행을 보이는 사례가 많다고 입을 모았다.
엄마를 ‘마녀’라고 부르며 등교도, 집에 살기도 거부하고 할머니 집에서 살고 있다며 부모 손에 이끌려 병원에 왔던 B 군이 대표적 케이스. B 군 부모는 “초등학교 때까지는 착하고 공부를 잘하던 아이가 이상해졌다”고 했다. 그러나 상담 과정에서 B 군은 “초등학교 때부터 공부를 하며 가슴속에 울화가 쌓였다. 엄마에게 ‘이제 더는 못 하겠다’고 했지만 그때마다 엄마는 ‘중학생이니 이제 본격적으로 해야 하는데 정신 나갔느냐’는 말만 했다”고 토로했다.
○ 엄마의 절박감 뒤엔 불안한 사회구조
홍현주 한림대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굉장한 부자가 아닌 이상에야 모든 부모가 아이의 미래와 생존에 대한 불안을 느끼는 시대가 됐다”며 “이런 불안감이 심한 부모 가운데는 아이가 공부를 안 하면 본인이 죽을 듯한 절망감을 느끼고 심지어 자녀 앞에서 자해하는 사람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어른의 삶을 살아보지 않은 아이들에게 부모의 이런 절박감은 이해할 수도, 받아들일 수도 없는 것”이라며 “아이에게는 아이만의 생각과 그에 맞는 인생의 길이 있다는 것을 부모가 먼저 인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의 부모들이 고교 3학년생 엄마 수준의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진단이 나온다.
김 교수는 “애가 병이 날 지경이 됐으니 한두 달만 사교육을 끊어 보자고 해도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엄마가 10명에 2명꼴밖에 안 된다. 내 아이가 놀 때 다른 아이가 공부하는 게 불안하기 때문”이라며 “이런 식의 사교육은 엄마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한 자기 위안 수단이고, 자녀의 성공이라는 ‘성과물’을 통해 자신을 증명해 보이려는 것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 하루 100명 찾는 보건실, 필요한 건 ‘위로’
김 교수는 아직 병원에 오거나 ‘환자’로 분류되지 않았더라도 심리적으로 고통을 느끼며 피폐해지는 아이가 훨씬 많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많은 사교육을 시키면 내 아이가 앞서가는 것 같지만 실은 여러 자극을 다 놓치고 인지 발달이라는 한 가지 자극만 주는 것”이라며 “이렇게 해서 성인이 되면 사회와 가정에서 환영받는 전인격적 성인이 되지 못한다는 걸 부모들이 꼭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우선 imsun@donga.com·우경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