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세브란스병원 응급진료센터에 설치된 응급심혈관중재술실. 초기 대응이 중요한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를 제때 시술하기 위해 응급중재술실에 심혈관조영술 장비를 설치했고 심장내과 전문의가 항시 대기한다. 연세의료원 제공
○ 추운 날씨에 바람 잘 날 없는 뇌심혈관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하는데, 이 중 하나라도 막히면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다. 이것이 급성심근경색증이다. 혈전(피가 굳은 덩어리)이 혈관을 완전히 막지는 않았지만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엔 협심증이 생긴다.
혈관이 막혔을 때 생기는 증상은 병변이 뇌일 때 더욱 심각해진다. 뇌혈관이 막혀 혈액과 산소가 공급되지 못해 생기는 허혈성 뇌중풍(뇌경색·단일 질환 중 사망원인 1위)이 대표적이다. 뇌는 몸속 산소의 30%가량을 소모하고 혈관도 빼곡히 들어차있기 때문에 치매 등 뇌 질환을 앓는 환자들은 뇌경색의 위험도 더 높아진다.
포항 지진과 같은 재난 발생 시 재난 후 스트레스로 인한 뇌심혈관 질환 위험이 특히 높아진다.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뇌심혈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피해 지역 반경 50km 내에 거주한 사람의 급성심근경색증 발병률이 34%, 뇌중풍은 42% 증가했다고 밝혔다. 1995년 한신(阪神)·아와지(淡路) 대지진 당시 인근 지역 고혈압 환자의 혈압이 평균 11mmHg 증가했다. 신상도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급성심근경색증은 진도가 높은 지역에서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 “심장발작 멈춰라” 응급실 안에 또 응급실
하지만 14일 출근길에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으로 지하철역 앞에서 쓰러진 황모 씨(44)는 오전 11시 23분경 세브란스병원 응급진료센터에 도착하자마자 응급중재술실로 옮겨져 11시 50분경 곧장 스텐트 삽입 및 풍선 확장술을 받을 수 있었다.
서울아산병원은 지난해 5월 119구급대와 함께 ‘뇌졸중 응급 진료 시스템’을 만들어 환자가 병원에 도착한 뒤 막힌 혈관을 뚫기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을 46분에서 20분으로 단축시켰다. 119 구급대원이 뇌졸중(뇌중풍) 의심 환자를 발견하면 곧장 서울아산병원 뇌졸중센터 의료진과 연락할 수 있는 24시간 전용 핫라인을 만든 뒤, 뇌졸중 환자의 혈전용해술 시행률은 종전 9.8%에서 15.8%로 높아졌고, 뇌출혈 등 합병증 발병률은 12.6%에서 2.1%로 줄었다.
고려대 안암병원은 실신하거나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면 당직의가 해당 환자의 심전도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심혈관센터의 전문의에게 전송한다. 급성심근경색증 진단과 시술 결정을 앞당기기 위해서다.
전상범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혈관이 막히면 1분당 뇌세포 190만 개가 죽고, 한 번 손상된 뇌세포는 다시 살아나지 않는다”며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거나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등 뇌졸중 증상을 보이면 곧장 혈전제거술이 가능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