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션 저널리즘 전파… 美 비영리단체 ‘SJN’
솔루션 저널리즘 기법으로 작성된 2000여개 기사, 각종 자료와 데이터 등이 가득한 SJN 웹사이트 모습(위 사진). 솔루션 저널리즘의 핵심은 사람들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방식’이 어떠한지를 알려주는 것이다. SJN 웹사이트 캡처·사진 출처 픽사베이
‘권력 감시보다 사회 문제 해결 우선’을 주창하는 대안 미디어 ‘솔루션 저널리즘 네트워크(SJN)’의 티나 로젠버그 공동대표가 9월 18일 미국 뉴욕 맨해튼 28번가에 있는 SJN 사무실에서 인터뷰하고 있다(왼쪽 사진). 도서관 같은 분위기의 SJN 사무실 풍경. 뉴욕=하정민 기자 dew@donga.com
SJN은 지난 4년간 NYT, 워싱턴포스트(WP), BBC 등 대형 언론과 100여 개 미 지역 언론에 솔루션 저널리즘을 설파했다. 교육받은 기자만 4000명이 넘는다.
SJN 웹사이트(solutionsjournalism.org)에도 솔루션 저널리즘 기법으로 작성된 2000여 개 기사, 각종 자료와 데이터 등이 빼곡하다. SJN을 ‘미디어를 위한 미디어’로 부르는 이유다. 비용은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 등 유명 재단과 후원자 기부금으로 충당한다.
○ 대안 없는 비판은 ‘사회악’
기자와 만난 로젠버그 SJN 공동 대표는 30년 경력의 베테랑 언론인. 미 노스웨스턴대에서 커뮤니케이션 학사, 석사 학위를 받았다. NYT 등에서 일하며 중남미, 동유럽 등 제3세계 전문 기자로 활동했다. 그가 ‘공산주의 잔재를 처리하지 않으면 동유럽 각국 개혁이 실패할 수 있다’고 지적한 저서 ‘유령의 땅(The Haunted Land)’은 1996년 퓰리처상 일반 논픽션 부문을 수상했다. 세 아이를 키우며 전업 기자에 한계를 느낀 그는 ‘고치기’ 코너를 도입하면서 객원 기자로 변신했다.
로젠버그 대표가 솔루션 저널리즘에 매료된 건 2000년. 그는 NYT에 ‘말라위 등 아프리카 빈국에 공급되는 에이즈(AIDS) 치료약이 너무 비싸 많은 사람이 숨진다. 그 원인은 대형 제약사의 폭리와 이를 눈감은 빌 클린턴 정권’이라는 기사를 쓰려 했다. 그러나 그의 에디터는 “이런 우울한 기사를 7000자나 쓸 수 없다”며 거절했다. 설득할 자료를 찾던 중 브라질 국영 제약회사에서 복제약을 싸게 만들어 공급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 그는 “싼값에 에이즈 치료약을 구할 수 있다고 보도했더니 큰 반향이 있었다. 이것이 진짜 언론의 역할이라고 느꼈다”고 했다.
솔루션 저널리즘 네트워크 소개 영상
○ 문제의 해결 과정과 방식을 탐구
솔루션 저널리즘의 핵심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람들이 어떻게 ‘해결’하고 그 ‘과정과 방식’은 어떠한지를 알리는 데 있다. 비슷한 문제를 남들은 어떻게 해결했는지, 우리는 왜 못 하는지, 어떻게 해결책 도입이 가능한지를 알려주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다.
그는 SJN 교육이 기성 언론의 변화를 일으킨 대표 사례로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지역 언론 ‘플레인딜러’의 납 페인트 고발 보도를 들었다.
플레인딜러는 2014년 가을 “저소득층 거주지 쿠야호가 카운티의 많은 집들이 1978년부터 사용이 금지된 납 성분 페인트로 칠해졌다. 이것이 지역 어린이들이 겪는 각종 질병의 원인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다른 지역 언론도 비슷한 보도를 내놨지만 별 반향이 없었다.
새로운 기사가 나가자 그동안 이를 무시했던 클리블랜드 정치인들이 달라졌다. 문제를 해결하라는 여론도 거셌다. 결국 시 정부는 주민 공청회를 연 뒤 납 페인트 사용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예산과 인력을 늘렸다.
로젠버그 대표는 “많은 미 지역 언론이 청소년 범죄, 교육, 보건 등 공공 부문 기사에 솔루션 저널리즘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SJN은 기자 개개인이 아닌 뉴스룸 전체와 부서 단위의 교육을 실시한다”며 “위계질서가 강하고 보수적 조직 문화를 지닌 언론사의 변화는 경영자와 편집국 간부가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티나 로젠버그 인터뷰 SJN 공동 대표 인터뷰
○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고(高)관여 기사
로젠버그 대표에게 “당신도 기성 언론에서 일해 ‘사실(fact)과 객관성(objectivity)’을 중시하는 분위기를 알지 않느냐. 왜 언론인에게 사회운동가 역할을 주문하느냐”고 물었다. 그는 “부정적 기사는 공권력과 사회에 대한 불신과 무관심을 키운다. 언론이 사회의 부정적 측면만 부각하면서 정작 해결책은 내놓지 않아 이 불신을 부추기고 있다”고 답했다.
소셜미디어 및 포털과의 경쟁, 광고 감소 등에 시달리는 기성 언론이 솔루션 저널리즘에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진 않을까. 로젠버그 대표는 “솔루션 저널리즘으로 쓴 기사는 고(高)관여(engagement) 상품이라 디지털 시대의 언론이 생존을 위해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 언론협회(APA) 조사에 따르면 독자들은 솔루션 저널리즘 기법으로 쓴 기사를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 읽고 해당 미디어를 재방문하는 비율도 높았다. 그는 “BBC가 솔루션 저널리즘 기법으로 만든 ‘나의 완벽한 나라(My Perfect Country)’ 프로그램은 35세 이하 젊은 시청자의 호응이 높았다”고 했다.
솔루션 저널리즘이 자칫 소(小)영웅주의나 단기 해결책만 도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는 “문제를 해결할 일말의 계기라도 마련할 수 있다면 그것부터 보도하고, 또 실패 사례에서도 배울 게 있다는 점을 중시한다”고 답했다.
훌륭한 해결책을 제시했더라도 그 이후까지 항상 완벽한 건 아니다. 로젠버그 대표는 “과거 해결책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 아니라면 왜 그런지를 추적하는 것 또한 우리의 일”이라며 “솔루션 저널리즘은 영미권 언론의 소유물이 아니므로 다른 나라 언론도 이를 활용하길 바란다.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한국을 찾겠다”고 말했다.
뉴욕=하정민 기자 de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