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중동發 잇단 악재 돌출… 中 일대일로 西進 멈칫

입력 | 2017-12-08 03:00:00

카타르 단교사태로 타격 이어 이-팔 양다리 외교 시험대 올라
환추시보 “트럼프, 말벌집 건드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루살렘=이스라엘 수도’ 선포로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21세기 육상과 해상의 실크로드 프로젝트) 정책이 또 하나의 중동발 악재를 맞았다.

파키스탄과 네팔에서 일대일로 프로젝트들이 내부 반발에 부딪혀 잇따라 취소되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의 단교로 중동 불안이 높아진 데 이어 예루살렘을 둘러싼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일대일로의 서진(西進)에 험로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이 ‘내정 불간섭’ 원칙 아래 추진해온 ‘양다리 실리 외교’가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도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7일 “예루살렘 파동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와 교류해온 중국의 투자에도 큰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중국은 1992년 이스라엘과 수교했고, 앞서 1988년엔 팔레스타인의 독립국가 선언을 적극 지지했다.

중국은 이스라엘에서 첨단무기와 군사기술, 농업과 청정에너지 기술 등을 도입해왔다. 양국 간 경제협력 규모도 2000년 11억 달러에서 2015년 114억 달러까지 늘어났다. 중국은 이제 이스라엘의 3위 교역 대상국이 됐다.

이런 관계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미국의 예루살렘 수도 인정에 우려를 나타낸 것은 다른 중동 국가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석유의 80% 이상을 중동에서 수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동지역을 일대일로 진출의 주요한 축으로 삼고 있다.

겅솽(耿爽)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예루살렘의 지위 문제는 복잡하고 민감하다”며 “각국이 지역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행동을 신중히 하고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의 기초에 충격을 주거나 새로운 대립을 촉발하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영 환추(環球)시보도 7일 사설에서 “트럼프가 말벌통을 건드렸다”고 비판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아랍권 7개국이 올해 6월 카타르와 단교한 것도 일대일로에는 큰 악재로 작용했다. 중앙아시아와 중동을 거쳐 유럽과 아프리카로 이어지는 사회간접자본과 무역로를 구축하려는 전략이 중동 국가 간 분열로 사업 전망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중국이 2004년부터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과 추진해온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중단됐다.

GCC 회원국에는 카타르뿐만 아니라 카타르와 앙숙이 된 사우디,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등이 포함돼 있다. 중국은 시리아 내전과 관련해서도 정부군과 반군 지도부를 모두 베이징으로 불러 협상을 중재하는 등 중동의 분열과 대립을 막기 위해 부심해왔다.

이에 앞서 네팔 정부는 지난달 중국 국영 기업인 거저우바그룹과 체결한 25억 달러(약 2조7500억 원) 규모의 부디 간다키 수력발전댐 건설 계약을 포기했다.

파키스탄도 중국과 함께 추진하던 140억 달러(약 15조4000억 원) 규모의 디아메르 바샤 댐 건설 사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구자룡 기자 bonhong@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