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D-60]38년간 눈 만든 김강우 경기장운영부장
김강우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경기장운영부 부장이 제설(製雪) 작업이 한창인 8일 강원 정선알파인경기장에서 주먹을 불끈 쥐며 평창올림픽의 성공 개최를 다짐하고 있다. 아래쪽 문구는 김 부장이 자필로 써 보내준 각오. 정선=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선글라스를 낀 한 남자가 눈 위에 우뚝 서 있다. 칼바람이 불어도 흔들리는 법이 없다. 그의 말 한마디에 눈을 뿌려대는 제설(製雪)기도, 성인 남성 두 명 높이의 스노캣(눈을 다지는 중장비)도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 동료의 동선 하나까지 신경 쓰는 그는 까칠한 설원의 야전 사령관. “워낙 까다롭게 구니 저라도 저 같은 상사 만나면 피곤할 겁니다.(웃음)”
눈 만들기(제설·製雪) 작업이 한창인 8일 강원 정선 알파인경기장에서 만난 김강우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평창조직위) 경기장운영부 부장(59)의 모습이다. 김 부장은 38년 동안 눈 만드는 작업을 해온 제설 전문가. 그는 자신이 ‘예민한 김 부장’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김 부장은 정선을 비롯해 용평, 보광 경기장 등 평창 겨울올림픽 설상 종목의 무대가 될 평창 마운틴 클러스터의 눈 만드는 작업을 총괄 지휘한다. 그가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 ‘균일한 설질(雪質)’. 내년 1월 15일까지 그가 이곳 정선 경기장에서만 이처럼 균일하게 쌓아 올려야 할 눈높이는 150cm에 달한다. 정선 경기장에 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만 80만 t이다.
“1번부터 100번 선수까지 똑같은 설질로 경기를 치르게 하는 것이 제 역할입니다. 하루라도 느슨해졌다가는 아래층과는 다른 질의 눈이 쌓일 수 있어요.”
그가 만들고 있는 눈은 일반 스키장용과는 다르다. 일반 스키장용 눈은 보통 물과 눈의 비율이 ‘1 대 5’이지만 국제 대회용은 이 비율이 ‘1 대 1.7’까지 떨어져 사실상 얼음에 가깝다.
“제설기에서 자체적으로 눈을 만들어 슬로프(경기장)에 뿌리는 게 아니에요. 물을 공중에 뿌리면 이게 땅에 떨어지는 와중에 얼음이 얼어 눈이 되는 거죠. 그러니 얼음에 가깝게 만들려면 물 뿌리는 각도를 높여야죠. 그런데 각도가 너무 높으면 완전히 얼음이 될 테고, 너무 낮으면 얼음 비율이 낮아지고…. 그래서 어려운 겁니다.”
“지금 정선에만 120대의 제설기가 운영되고 있어요. 만약 이게 멈추고 수도관이 얼면 답이 없죠. 그래서 정전 기미가 보이면 모든 직원이 자체 발전기를 돌리고 비상근무 태세로 전환합니다.”
김 부장을 포함해 87명의 제설 담당자는 지난달 15일부터 주간팀과 야간팀으로 나눠 맞교대를 하며 제설 작업을 하고 있다. 내년 1월 15까지 강행군이 계속된다.
“지금은 약 40cm를 쌓았어요. 앞으로 110cm가 남았죠. 갈 길이 멀어요. 1월이 지나도 대회가 끝날 때까지, 혹시 폭설이 내리면 모두 달려가 치워야 합니다. 5분 대기조처럼 지내야죠.”
제설 담당자들은 사명감으로 똘똘 뭉쳐 있다. 1980년 쌍용건설에 입사해 제설 전문가의 길을 걸은 김 부장은 3년 전 평창조직위에 지원하며 “최고의 설질을 제공해 한국 겨울스포츠의 저력을 보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선=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