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아하!東亞] 일제강점기의 특파원들

입력 | 2017-12-27 03:00:00

나라 잃은 조선인들 보호 위해 외교관 역할도




1931년 7월 만주를 침략하려는 일제의 음모로 중국 지린성 창춘현 완바오산에서 한중 농민들이 충돌하는 ‘만보산(萬寶山) 사건’이 일어났다. 진상이 와전되면서 조선에서 평양을 중심으로 중국인 보복 폭행과 학살이 벌어지자 동아일보는 ‘허무한 선전에 속지 말라’는 사설을 내고 “우리가 조선에 와 있는 중국사람 8만 명에게 하는 일은 곧 중국에 있는 100만 명 우리 동포에게 돌아옴을 명심하십시오”라며 폭행 중지를 호소했다.

중국 정부에도 조선인들은 일제의 간계에 휘말린 것뿐임을 알려 탄압을 막아야 했다. 그러나 나라가 없으니 대사관도 외교관도 없는 게 현실이었다. 당시 신언준 동아일보 상하이 특파원은 중국 국민정부의 왕정옌 외교부장을 만나 사태의 진상을 설명하고 양해를 구하는 한편으로 “만주의 한인들을 특별히 보호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동아일보의 해외 특파원은 나라 없는 조선인들의 대사이자 영사였다. 같은 해 9월 만주사변이 터지자 동아일보는 서범석 특파원을 만주에 머물게 해 재만 동포들의 참상을 신속히 보도하면서 피란 동포를 위한 위문금품을 모집했다. 전 조선에서 6만여 명이 구호물품 1만7809점, 구호금 3만2714원20전을 보내왔다. 서 특파원과 양원모 영업국장은 만주 각처의 수용소를 찾아가 이를 전달했다. 회고에 따르면 당시 편집국장 춘원 이광수는 서 특파원을 보낼 때부터 “전황(戰況) 보도는 필요 없다”고 했다. 동포를 구호할 방책을 강구하는 게 우선이라는 얘기다.

간토 대지진이 일어나고 조선인 대학살이 번져가던 1923년 9월 일본 도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주일 중국 영사가 경찰서에 나타나 말했다. “여러분 중 중국인은 나오시오.” 수용된 한 조선인은 자신을 ‘주인 없는 개’와 같다고 생각했다는 기록도 있다. 얼마 뒤 당시 편집국장이기도 했던 이상협 동아일보 특파원이 경찰서에 나타나 조선인들을 석방시켜줬다. “무슨 구세주를 만난 듯 반가웠으며, 그때의 우리들이 믿고 의지할 곳은 오직 신문사밖에 없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절실하게 느꼈다.” 책 ‘신문야화―30년대의 기자수첩’(김을한·1971년)에 나오는 얘기다.

이 특파원은 빵과 통조림, 음료수 등 식량 2만2000점을 동포에 전달했다. “속히 물러가라”는 협박 속에서도 교포 구제에 온 힘을 기울이고, 생존자 명단을 작성하는 등 현장의 참상과 문제점을 보도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