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로 본 평창올림픽]경기장의 비밀-강릉 ‘오벌’
2018 평창 겨울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이 열리는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오벌)은 7600명의 관중을 수용하고 전 좌석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해 어느 자리에 앉아도 시원하게 트랙을 조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강릉=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2018 평창 겨울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이 열리는 강원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오벌)에는 1m의 비밀이 숨어 있다. 어지간히 눈 밝은 사람도 한눈에 봐서는 알아차리기 힘들다. 하지만 직접 스케이트를 타는 선수들은 그곳에 숨어 있는 큰 차이를 느낀다. 메달 색깔을 바꿀 수 있는 ‘마법의 1m’다.
강릉 올림픽파크 내에 자리 잡은 강릉 오벌은 가로 220m, 세로 120m 크기의 지상 2층, 지하 2층 건물이다. 건축면적이 약 2만5000m²로 기둥 없는 단일 평면 건물로는 국내에서 가장 크다. 철골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규모 6.0의 강진에도 버틸 수 있게 내진 설계가 되어 있다.
스피드스케이팅 세부 종목들은 대부분 인코스와 아웃코스만 사용한다. 유일한 예외가 이번 평창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매스스타트다. 매스스타트는 코스를 분리하지 않고 웜업 트랙까지 모두 활용할 수 있다.
강릉 오벌 건설 공사를 맡은 정병찬 현장소장은 10일 “웜업 트랙의 폭이 늘어나면서 훨씬 가파르고 다이내믹한 곡선 주로가 만들어졌다. 코너를 돌 때 경사가 급해져 코너 적응력이 뛰어난 선수가 유리해진다”고 설명했다. 코너링 능력이 메달 색깔을 확실하게 결정짓게 만들어진 것이다.
그가 말한 코너 적응력이 뛰어난 선수들이란 바로 대한민국 선수들이다. 어릴 적부터 롱 트랙을 중심으로 훈련해 온 외국 선수들과 달리 한국 선수들은 쇼트트랙에서 스피드스케이팅으로 전향한 선수가 많다. 남자 장거리 스피드스케이팅의 간판 이승훈(30·대한항공)과 여자 장거리 기대주 김보름(25·강원도청)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체대 선후배 사이인 이들은 모두 어릴 적 쇼트트랙 선수였다가 성인이 된 후 스피드스케이팅으로 종목을 바꿨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체대 빙상장 등에서 동료 쇼트트랙 선수들과 함께 훈련을 한다. 기록이 아닌 순위를 겨루는 매스스타트는 쇼트트랙과 마찬가지로 코너를 도는 능력이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들은 평창 올림픽의 유력한 금메달 후보이다. 특히 이승훈은 2017∼2018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월드컵 대회에서 2차례나 금메달을 차지하며 이 부문 세계 랭킹 1위에 올라 있다. 부상 때문에 주춤했던 김보름(세계 랭킹 10위) 역시 언제든 금메달을 노릴 수 있는 다크호스로 꼽힌다.
안타깝게도 강릉 오벌은 여전히 사후 활용 계획이 정해지지 않고 있다. 강원도의 한 관계자는 “테스트 이벤트를 통해 외국 선수들에게도 호평받은 명품 경기장인 만큼 대회 후에도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강릉=이헌재 기자 un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