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부천署 성고문 사건’ 피해자… 성폭력연구소장 등 女인권신장 앞서

박상기 법무부 장관(오른쪽)이 2일 ‘법무부 성희롱·성범죄대책위원회’ 구성 발표를 하기 위해 정부과천청사 법무부 회견장으로 권인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장(왼쪽)과 함께 들어서고 있다. 박 장관은 권 원장을 대책위 위원장으로 위촉했다. 과천=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대책위는 내부위원과 외부위원으로 구성된다. 내부위원은 법무부 내에서 성희롱과 성범죄 피해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여직원 위주로 선임된다. 외부위원은 권 위원장이 지명하는 전문가들로 선정될 예정이다. 또 피해 여성을 지원하기 위해 국선 변호인들도 대책위원회 업무를 돕게 할 계획이다.
권 위원장은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의 피해자로 여성의 인권 신장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활동을 해온 여성학자다. 1986년 서울대 의류학과에 다니던 그는 경기 부천시의 의류공장에 위장 취업 후 노동운동을 했다가 공문서 위조 등의 혐의로 조사를 받던 중 성고문을 당했다. 당시 권 위원장은 고문을 한 형사를 고소했지만 검찰은 권 위원장만 구속 기소해 징역 5년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조사를 통해 가해 경찰의 유죄가 확정됐다. 박원순 서울시장 등 166명이 변호를 맡았던 이 사건은 1987년 민주화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됐다.
김윤수 기자 y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