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평창 겨울올림픽 개막일인 9일 북측 고위급 대표단 단장 자격으로 방문한다. 김영남은 비록 명목뿐이긴 하나 헌법상 국가수반으로 김정은 다음의 공식 서열 2위다. 한국을 방문하는 북한 인사 중 최고위급이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영남의 개별 접견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영남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간 북-미 회동이 이뤄질지도 관심사로 떠올랐다.
올해 90세의 김영남은 대외적으로 북한을 대표하는 명목상 국가원수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에서 김정일은 자신의 서울 답방 전에 김영남을 먼저 한국에 보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의전상 정상급 예우는 해줘야겠지만 실질적 권한이라곤 없는 김영남과의 만남에서 어떤 성과를 거두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올림픽 개막 전날 대규모 열병식을 통해 ‘핵무력’을 과시한 뒤 평창에선 ‘평화’를 선전하겠다는 것이니 큰 기대를 갖기도 어렵다.
북한은 4일 밤늦게 김영남의 파견과 함께 예술단원들을 만경봉92호에 실어 보내겠다고 통보했다. 제멋대로 ‘심야 통보’가 벌써 세 번째다. 특히 북측 선박을 통한 예술단원 수송은 숙식 편의를 위한 것이라지만, 우리 정부의 대북 5·24 조치는 물론 국제적 대북제재에 구멍을 내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 정부는 이번 올림픽에 한해 예외 조치로 검토하겠다지만 미국 등 국제사회의 오해를 낳지 않도록 긴밀히 협의해 결정해야 한다.
결국 북-미 관계의 결정적 모멘텀이 마련될지는 김정은이 대리인 김영남을 통해 내놓을 메시지에 달려 있다. 최소한 비핵화와 관계개선을 함께 논의할 수 있다는 자세라도 보여야 3월 패럴림픽 폐막까지 북-미 대화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김정은이 이런 절호의 기회를 다시 놓친다면 평창 이후 북한은 더 엄혹한 국제제재 속에서 존망(存亡)의 기로에 처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