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활 일본의 그늘, 도전의식 없는 젊은 세대에 고민
일본 한 기업의 입사 내정식에 참석한 대학생들. 일본 기업들은 대학교 3, 4학년생을 미리 신입사원으로 뽑아두는 이른바 ‘입도선매’식 고용을 하지만 이들에 대한 쟁탈전이 이후에도 치열하게 벌어진다. 아사히신문 제공
일본 정부가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총리의 경제정책)의 성과를 내세우며 경기 회복과 일손 부족을 자랑하지만 ‘행복한 비명’ 속에는 그림자도 드리워져 있다. 특히 ‘귀하신 몸’ 취급을 받으면서 도전의식도 동기도 없는 젊은이들이 고민거리다. 이들은 취직을 해도 직장일은 적당히 하고 개인생활을 중시하며 전직을 쉽게 반복한다. 최근 신입 직장인들의 3년 이내 이직률은 30%에 이른다. 과거 선배들처럼 출세(승진)를 위해 삶을 희생하지 않으며 ‘골치 아픈’ 관리직은 아예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 일본 기업, 한국 젊은이 ‘헝그리 정신’에 반색
한국 젊은이를 고용해본 일본 글로벌 기업들이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은 해외 근무에 적극적이란 점이다. 일본인 직원 대부분이 해외 근무를 꺼리고 발령을 내면 사표를 내서 골머리를 앓던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본의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해외 근무는 급여도 많고 출세로 연결되지만 요즘 일본 젊은이들은 출세에 관심이 없다”며 한숨을 푹푹 쉰다. 한국 젊은이들에 대해선 “헝그리 정신이 살아있고, 업무 능력도 어학 능력도 뛰어나다”며 엄지손가락을 세운다. 한국인 사원들의 패기를 가장 반가워하는 이들은 일본인 임원들이란 말도 들린다. 이들에게서 자신들의 젊은 시절 모습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이 같은 평가에 힘입어 지난해 일본에 취업한 한국인은 5만5900여 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증가폭도 사상 최대였다. 일본 기업들은 한국 대졸자를 모시기 위해 지방 캠퍼스까지 찾아가 취업설명회를 여는 수고를 아끼지 않는다.
○ “일본 안에 다 있는데 왜 굳이 해외에서 고생을…”
같은 이유로 유학도 잘 안 간다. 201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해외에서 공부하는 일본인 유학생은 5만4676명으로, 고점을 찍은 2004년(8만2945명)에 비해 30% 이상 줄었다. 특히 미국행 유학생이 격감했다. 9·11테러 후 안전에 대한 우려 증가, 미국 대학의 학비 급등 등이 영향을 끼쳤다. 미국 국제교육연구소에 따르면 2016년 일본인 유학생은 1만9000여 명으로 국가별 순위 8위에 머물렀다. 1994∼97년에는 일본인 유학생이 1위였다. 문부과학성은 2014년부터 장학기금 ‘도약하자 유학 저팬’을 설치하는 등 지원에 나섰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 “출세 싫어요” 일은 적당히, 나만의 생활 중요
지난해 5월 미쓰비시UFJ 리서치앤드컨설팅이 신입사원 13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출세’ 혹은 ‘출세 없이 즐거운 업무’ 중 양자택일하라는 질문에 46.6%가 전자를, 53.4%가 후자를 선택했다. 직장은 즐겁게 생활비를 벌기 위한 수단이라고 보는 젊은이가 늘어가는 가운데 기업들은 급여나 승진 대신 무엇으로 이들을 붙잡아 놓을지 고민하는 형국이다.
○ 긴 불경기 보며 자란 세대, ‘욕심’ 자체를 기피
흔히 ‘유토리(여유) 세대’라고 불리는 일본의 20, 30대(1980년대 후반∼1990년대 후반 생)는 성장 과정 내내 버블 붕괴와 장기 불황을 목격한 탓에 뭔가에 욕심을 내지 못한다. 인생의 덧없음을 미리 깨닫고 달관한 것처럼 행동한다고 해서 ‘사토리(달관)’ 세대라 불리기도 한다.
이들은 물욕이 없어 돈이 있더라도 집도 차도 사지 않고 유니클로 등 저가 패션 등을 선호한다. 이들이 소비의 주체가 되면서 산업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가령 일본 자동차 업계는 젊은층의 자동차 구매 기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꼭 필요한 것 외에는 물건을 갖지 않는 ‘미니멀리스트’가 늘고 주변 물건을 처분하고 방을 깨끗이 비우는 ‘단샤리’도 유행한다.
전문가들은 이런 행태에는 △고도성장, 대량소비 사회에 대한 반동 △2011년 3·11 동일본 대지진 이후 급증한 미래에 대한 불안 △스마트폰 등 개인소비 증대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이 자리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들은 결혼과 출산에도 관심이 적다. 지난해 4월 발표된 통계에 따르면 50세까지 결혼을 한 번도 하지 않는 사람의 비율인 ‘생애미혼율’은 2015년 기준으로 남성이 23.4%, 여성은 14.1%였다. 남성 4명 중 1명, 여성은 7명 중 1명이 평생 결혼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애나 결혼에 소극적인 젊은 남성을 지칭하는 ‘초식남’이 유행어가 된 지 오래다.
도쿄=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