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이번엔 피붙이 카드… ‘평창 운전석’ 공세 몰아치는 평양

입력 | 2018-02-08 03:00:00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 평창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여동생이자 최측근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31)을 평창 겨울올림픽에 맞춰 한국에 보내기로 결정한 것은 지난달 신년사 발표 이후 계속된 한반도 주도권 잡기 게임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백두혈통’(김일성 일가)은 광복 이후 한반도 남쪽 땅을 밟은 적이 없다.

당초 북측 고위급 대표단에 실질적 2인자인 최룡해 노동당 부위원장의 참석을 기대했던 정부는 김여정 파견이 결정되자 적잖이 놀라고 있다. 통일부는 자료를 내고 “(김여정 등의) 체류기간 동안 소홀함이 없도록 준비하겠다”며 반겼다. 동시에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비핵화는커녕 핵동결 이야기는 쏙 뺀 채 약 600명의 대표단에 이어 김여정 카드까지 꺼낸 김정은의 융단폭격식 ‘평창 공세’ 뒤에 숨겨진 진짜 의도를 지금이라도 잘 따져봐야 한다는 신중론이 확산되고 있다.

○ “우리 오빠는 나쁜 사람 아니다”며 선전전 펼 듯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유성옥 원장은 최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여정은 최룡해에게도 반말을 한다. 그냥 ‘최룡해’라고 부른다고 한다. 2인자 최룡해도 김여정 앞에서는 쩔쩔맨다”고 말했다. 어릴 적 강원 원산에 있는 아버지 김정일의 특각(별장)에서 함께 뛰놀았던 여동생 김여정은 김정은에게 하나밖에 없는 피붙이다.

김정은이 이런 김여정을 한국에 보내기로 한 것은 평창 드라이브의 대미를 장식하겠다는 성격이 강하다. 북한은 지난달 9일 고위급 회담에서 우리가 비핵화 대화 재개를 요청한 것을 사실상 거부한 후 “핵은 대화 대상이 아니다”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김여정을 포함한 ‘역대급 대표단’이 내려오지만 남북은 아직 대화 의제조차 논의하지 못하고 있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1989년 임수경이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 참석차 방북했을 때 남한의 풋풋한 여대생을 보고 북한에서 센세이션이 일어났다. 북한도 이번에 그런 효과를 노리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이 ‘이미지 세탁’을 노린다는 분석도 나온다. 남성욱 고려대 교수는 “김여정은 ‘우리 오빠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말하는 것처럼 로켓맨도 아니고 나쁜 사람이 아니에요’란 퍼포먼스를 연출하는 데 사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창에서 벌어질 북-미 간 신경전의 연장선으로 봐야 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북한은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의 방문에 맞춰 명목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으로 ‘격’을 맞췄다. 이어 트럼프의 장녀인 이방카 백악관 선임고문의 폐회식 참석이 유력해지자 김정은이 맞대응으로 김여정을 보내기로 했다는 것.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은 ‘정상국가’로서 미국과 대등하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할 것이다. 이방카가 폐회식에서 주목받으니 김여정은 개회식 스포트라이트를 받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김여정, 김정은 메시지 갖고 청와대 가나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북측 고위급 대표단을 면담할 것으로 보인다. 면담은 청와대에서 대표단장인 김영남 상임위원장과 김여정 등 대표단 전원이 모두 참석하는 형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 주변에선 과연 김여정이 김정은의 메시지를 갖고 올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문 대통령이 김여정 일행을 만나더라도 비핵화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은 높게 보지 않는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해 제일 중요한 것은 핵”이라면서도 “이제 첫발을 떼는 것이다. 비핵화 문제는 (대화 단계 중) 가장 끝에 있는 것이니 첫 만남부터 본격적인 얘기를 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오히려 김정은은 김여정을 통해 문 대통령의 의중을 떠보려 할 수도 있다. 과연 평창 이후 대화를 이어갈 만한지 등을 타진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펜스 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초대한 상황에서 어떤 식으로든 남북 대화는 물론이고 북-미 대화에 나서라는 메시지를 발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남성욱 교수는 “(김여정에게) 이번이 북한에 마지막 기회다. 비핵화를 위한 대화를 미국과 시작해야 한다고 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인찬 hic@donga.com·문병기·홍정수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