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연세대 연구팀 1만7587명 분석
한림대 의대 유규형·한성우·윤종찬 교수팀과 연세대 의대 강석민 교수팀은 전 세계 심장이식 환자 자료가 모여 있는 ‘세계심폐이식학회’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0∼2011년 심장이식을 받은 환자 중 1년 넘게 생존한 1만7587명을 5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들은 모두 심장이식 수술을 받기 전 암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환자들이었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1877명(10.7%)은 이식 후 5년 내에 새로운 암이 발병했다. 암은 흡연이나 방사선, 자외선 등 암 위험 인자에 꾸준히 노출된 뒤 대개 10∼20년이 경과한 이후 발생한다. 이처럼 짧은 기간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심장이식 수술과 암 발병 사이에 관련성이 매우 높은 셈이다.
피부암은 생존율이 대개 90% 이상인 ‘양호한 암’(흑색종 제외)으로 불린다. 하지만 심장이식 환자에게서 발병한 피부암의 5년 생존율은 50% 이하로 현저히 낮았다. 심장이식 후 피부암 발병은 치명적인 셈이다.
연구팀은 “심장이식 환자들은 장기간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감염이나 신장기능 장애, 이식혈관병증과 같은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며 “이 때문에 각종 암이 발병할 위험성이 다른 사람보다 높아 결국 사망 위험도 증가한다”고 말했다.
논문 제1저자인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윤종찬 순환기 내과 교수는 “대개 심장이식을 받으면 수술 뒤 첫 일주일, 첫 한 달, 첫 1년이 고비인데 이 기간 환자들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몸 관리를 잘한다”며 “하지만 2년째부터 일상생활에서 건강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윤 교수는 “장기 생존자의 경우 암 검진을 꾸준히 받고, 몸에 이상 징후가 있으면 의료진과 상의하는 등 적극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다”며 “이것이 이번 연구의 중요한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심장이식뿐 아니라 폐나 신장, 간 등 다른 장기 이식 이후 암 발생 빈도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장기이식은 2000년 1305건에서 2016년 4684건으로 16년 동안 3.5배로 증가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