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특사 누구 보내나
특사 후보 한자리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청와대에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왼쪽),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왼쪽에서 두 번째) 등 북측 대표단을 접견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동아일보DB
○ 靑 “특사, 북-미 대화 여건을 만들기 위한 것”
청와대는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 간의 회동 불발에도 “미국과 북한이 대화 의지가 있다는 게 확실해졌다”고 평가해 왔다. 그러나 북-미 모두 마주 앉으려는 구체적 행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 ‘포스트 평창’ 국면을 맞은 청와대의 고민. 여기에 백악관은 계속 비핵화를 강조하며 “대화를 거부한 건 북한”이라는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다. 북한이 먼저 움직여야 ‘탐색적 접촉’이라도 가능하다는 것.
문 대통령이 대북특사 파견에 속도를 내는 것은 시간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4월 초로 예정된 한미 연합 군사훈련 시작 전까지 특사 파견을 통해 북한의 의중을 읽고, 이를 토대로 다시 백악관을 설득하는 절차를 거쳐야 대화 모멘텀을 이어갈 수 있다. 여권 관계자는 “특사의 방북 일정이 최소 3일가량 될 것이고 이후 한미, 남북 간 후속 접촉이 이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 지금 나서야 4월 한미 훈련 전까지 북-미 간 탐색적 접촉이라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특사에게 어떤 카드를 내밀지도 관건이다. 문 대통령이 제안한 ‘비핵화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최소한의 의지와 성의를 북한이 보인다면 문 대통령의 ‘속도전’은 탄력을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교착 국면은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과거와 비슷한 선언적 제안만 내놓는다면 ‘25년간 (북핵에) 실패한 접근을 했다’는 백악관이 북-미 대화를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 김정은을 만날 특사는 누구?
문 대통령은 주말을 거치며 특사 후보를 낙점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규모, 급에서 과거와 달랐다”며 대북특사도 그 수준에 맞추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유한국당은 “임 실장, 서 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 세 사람은 절대 특사로 보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홍지만 대변인은 “김여정은 올림픽을 이용하려고 왔는데 왜 답방을 해줘야 하나. 정상회담에 대한 김정은의 의사를 타진하려는 수작”이라고 말했다.
한상준 alwaysj@donga.com·최우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