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경기도 이천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훈련원 컬링센터에서 열린 컬링 경기. ‘얍’(스위핑 시작), ‘헐’(빠르게 스위핑), ‘워’(그만) 등 선수들 간 열심히 구호를 외치는 상대팀과 달리, 다른 한 팀은 경기 내내 서로의 마음을 읽기라도 하는 듯 소리 없이 움직이기만 했다. 이 팀은 ‘컬리(Curly)’. 키 2.2m, 무게 86㎏로 바퀴 3개로 이동하는 컬리는 고려대를 중심으로 지난해 4월부터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국내 로봇기업 엔티(NT)로봇 등 8개 기관 국내 연구자 60여 명이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AI) 컬링로봇이다.
컬리는 1엔드 5번째 투구에서 하우스 정중앙에 스톤을 넣는 데 성공했지만, 뒤 이어 고등부 팀이 이 스톤을 완전히 하우스 밖으로 밀어내면서 전세가 뒤집혔고 1점을 뺏겼다. 2엔드 역시 초반에는 중심에서 반경 1.2m인 빨간색 원 안에 컬리팀의 스톤만 2개가 들어갔지다.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자기 팀 스톤을 밀어내는 ‘자폭’ 투구가 두 차례 발생했다. 결정타인 마지막 투구까지 가드(방어막)를 세우는 데 쓰면서 고등부 팀이 2점을 가져갔다.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빙판은 경기장 온도와 습도, 정빙 정도 등에 따라 수시로 빙질이 바뀐다. 오전에 진행된 1엔드의 연습게임에서는 1:0으로 이겼는데, 아직까지는 빙질에 맞게 적응하는 능력이 정교하지 못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다만 경기에 참가한 고등부 팀의 한 학생은 “로봇이 생각보다 다양한 전략을 잘 짠 것 같다. 무섭기도 하고 당황스럽기도 했다”고 말했다. 설상훈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올해 가을 스위핑로봇까지 추가되면 성능이 향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현재 컬리가 던진 스톤은 하우스의 빨간색 원 안에 60~70% 이상 들어간다. 이렇게 밀어 넣는 ‘드로우’ 외에 상대팀 스톤을 쳐내는 ‘테이크아웃’ 전략에서는 성공 확률이 80~90%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I 결정에 따라 기계적인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한 덕분이다. 주행속도는 초당 0.01m 단위로, 투구 각도는 0.05도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다. 초당 3.5m 속도까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한번에 최대 2시간 30분까지 운행 가능하다.
컬링로봇은 향후 컬링 선수들의 경기 훈련은 물론이고 일반인을 위한 컬링 교육, 게임 등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AI 소프트웨어인 컬브레인은 시뮬레이션 방식의 컬링 게임 개발에도 응용 가능하다. 이 교수는 “컬리를 이용한 훈련으로 베이징 겨울올림픽에서도 한국 대표팀이 메달을 딸 수 있도록 하는 게 1차 목표”라며 “‘플로우 컬링’이나 ‘스크린 컬링’ 등에도 활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향후 컬링로봇의 범용성을 확보해 자율 생산 로봇, 무인 이송 서비스 등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한편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이달 9일부터 10일간 ‘평창 동계패럴림픽’이 개최될 예정이다. 6개 종목 중에는 휠체어컬링도 있다. 한국 대표팀은 10일 오후 2시35분 강원 강릉컬링센터에서 미국팀과 예선 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송경은 동아사이언스 기자 kyunge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