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농축산물 재배-유통에 ICT 접목… 유통업계, ‘스마트팜 제품’ 열풍

입력 | 2018-03-20 03:00:00

계절-날씨 상관없이 안전 먹거리 연중 공급




전북 익산시에서 재배 중인 버섯(왼쪽 사진)과 전북 김제시에서 생산되는 딸기. 모두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스마트팜에서 만들어졌다. 유통업체들은 신선식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저마다 새로운 정보기술(IT)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이마트 제공

날씨와 관계없이 연중 꾸준히 생산되는 버섯,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지역을 피해 배달되는 닭고기, DNA 검사 받는 한우. 유통업계가 신기술을 활용해 선보이고 있는 신선식품들이다. 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안전하고 신선한 식품을 찾는 소비자가 점차 늘면서 유통업계들은 스마트팜 등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신선식품 품질 끌어올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 들어 스마트팜 제품을 가장 활발히 선보이는 업체는 이마트다. 이마트는 지난해 12월 스마트팜 농법으로 재배한 ‘국산의 힘 유기농 첫눈에 표고’를 처음 선보였다. 전북 익산시 삼기면에서 재배된 이 버섯을 키운 건 농부가 아닌 IT 회사 직원들이다. IT 중앙관제와 에너지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서우에스엠’이 버섯 재배 시스템을 개발해 직접 버섯을 키워 이마트에 납품하고 있다.

서우에스엠은 스마트팜 기술을 도입해 버섯 재배 시스템을 만들었다. 컨테이너형 농장에서 온도를 7∼15℃로 유지하고 습도는 60∼95%로 통제해 버섯이 자라기에 가장 좋은 환경을 만들었다. 직원들이 실시간으로 버섯이 자라는 과정을 확인해 연 11∼13회 버섯을 생산하고 있다.

스마트팜의 가장 큰 장점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연중 일정하게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재배 과정이 데이터로 축적돼 전문 지식이 떨어지는 귀농 인구나 농업 초보자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2016년 농촌진흥청이 토마토 스마트팜을 시범적으로 진행한 90가구를 조사한 결과 일반 농가에서 재배한 토마토 수확량은 3.3m²당 65kg이었지만 스마트팜 수확량은 94kg일 만큼 수확량도 많다.

이마트는 스마트팜에서 생산한 딸기도 선보이고 있다. 전북 김제시는 전통적인 딸기 산지는 아니지만 스마트팜 딸기로는 차츰 이름을 알리는 지역이다. 일반 딸기는 5월 초가 되면 출하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당도가 떨어지는 반면 스마트팜 딸기는 6월까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점차 수요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홈플러스는 신선식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유통과정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철저하게 애프터서비스 하는 방식으로 경쟁업체와 차별화하고 있다. 한우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짜 한우만 선별하고 수박은 비파괴 당도 검사를 통해 엄선하는 식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신선식품 매출이 5% 오르는 등 실적도 개선되고 있다.

홈플러스는 신선식품 품질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이달부터 고객이 신선식품 품질에 만족할 때까지 교환·환불해주는 ‘신선의 정석’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전자제품에 주로 쓰이던 ‘무상 애프터서비스’ 개념을 신선식품에 도입한 것이다. 농축수산물은 물론 우유, 계란, 치즈, 김치, 어묵, 치킨까지 신선 카테고리 3000여 개 전 품목이 대상이다. 고객은 구매 뒤 7일 이내 영수증과 결제카드, 상품을 가지고 점포를 방문하면 1회당 10만 원, 월 10회까지 교환·환불을 받을 수 있다. 맛, 색, 당도, 식감 등 어떤 부분이라도 품질에 만족하지 못하면 교환해준다.

롯데마트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신선식품 유통에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롯데마트에 육계를 납품하는 ‘참프레’는 KT와 손잡고 ICT 설비를 활용한 국내 유일의 ‘AI 가축질병 컨트롤 타워’를 갖추고 있다. 참프레에 납품하는 육계 농장의 실시간 온도, 습도를 모두 확인할 수 있고 닭고기 이동 차량의 현재 위치와 출발지, 목적지 등에 AI 위험 지역이 있으면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경로를 변경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참프레’에서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제품의 80%가량을 납품받고 있다.

계기영 롯데마트 축산팀장은 “ICT 기술을 활용해 유럽 등 선진국에서 활성화돼 있는 동물복지 인증 제품의 매출이 빠르게 신장하고 있다”며 “가격은 10%가량 비싸지만 품질에 대한 신뢰, 먹거리 안전성 등에서 소비자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