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충현 산업2부 기자
다른 유통업체에 비하면 홈쇼핑은 그나마 ‘첨단’에 가깝다. 마트나 백화점 등 여전히 많은 업체들은 인류 최초의 시장이 생겼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은 형태로 돈을 번다. 장을 꾸리고 물건을 진열한 채 손님을 기다렸다가 손님이 건네는 돈을 받고 물건을 내준다.
소비자들은 이미 소비의 상당 부분을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이용해 진행한다. 퇴근길에 스마트폰으로 상품을 주문하면 다음 날 아침 현관 앞에 주문한 물건이 배달되는 시대에 굳이 마트나 장에 들를 이유는 없다.
두 번째는 일자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윤 추구가 최고 가치인 기업이 직원들 일자리 잃을까 봐 걱정한다면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이들도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업 나름의 속사정이 있다. 한 유통업체 고위 관계자의 말이다.
“직원들도 다 우리 식구인데 회사 사정이 아주 어렵지 않는 한 함부로 구조조정할 수도 없어요. 오프라인 유통업체가 얼마나 고용 창출 효과가 큽니까. 특히 경력단절여성, 중년을 위한 일자리도 많잖아요. 같은 맥락에서 우리가 점포 수를 확 줄여서 일자리가 줄어들면 정부가 가만히 있을까요. 바로 한 소리 들을걸요.”
이렇듯 유통업체는 온라인이라는 거대한 물결 속에서도 오프라인 매장을 크게 줄이지 않으면서 생존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 앞에 서 있다. 롯데 신세계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온라인쇼핑 시장을 더 강화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본진(本陣)은 오프라인 매장이다.
오프라인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사업을 키우려면 추가 출점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정부가 기존 상권을 침해한다며 각종 규제로 출점을 제한하고 있어서 쉽지 않다. 정부는 기존 상권의 반발을 이유로 들지만 대형마트나 백화점이 들어서면 수백 개에서 수천 개의 일자리가 생긴다는 순작용도 무시할 수 없다.
송충현 산업2부 기자 bal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