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
①을 구분하는 것이 더 쉽다. 비슷한 말을 생각해 보자. ‘함께’나 ‘아울러’라는 단어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함께’는 부사다. 비슷한 말인 ‘같이’ 역시 마찬가지다. ‘같다’에서 왔겠지만 ‘-이’가 붙어 완전히 부사가 된 말이다. 하나의 단어이니 앞 말과 띄우는 것이 맞다. 각 단어는 띄어 쓰는 것이 맞춤법의 대원칙이니까. 문제는 ②다. ‘같이’ 역시 ‘같-’에 ‘-이’가 붙었으니 역시 부사가 아닐까? 지금은 아니다. 아래 문장을 보자.
나부터 잘해야 일이 잘된다.
‘부터’의 띄어쓰기를 혼동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데 이 말은 사실 ‘붙다’로부터 온 말이다. ‘붙-+ -어’라는 말이 쓰이다가 어느 시기에 ‘붙다’로부터 멀어져서 앞말과 뒷말의 관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 말이다. 말들의 관계를 맺어주는 품사는 ‘조사’다. 오늘날 이 ‘부터’는 완전히 조사로 되어 버렸다.
이와 동일한 길을 가고 있는 것이 ‘같이’다. ‘같다’는 원래 ‘다르지 않다’는 의미의 형용사다. 그러면 아래 문장들의 ‘같이’가 그런 의미인지를 확인해 보자.
여기서 ‘같이’는 ‘앞서 보인 단어의 속성처럼’을 표시하는 조사다. 즉, 이 문장들의 ‘같이’는 ‘처럼’의 의미로 쓰인다. 그리고 ‘처럼’이 조사이듯 위 문장들의 ‘같이’ 역시 조사다. 우리가 첫 번째 보았던 문장에서 ②를 붙여 쓰는 이유는 이 단어가 조사가 되었기 때문이다.
비슷한 의미이긴 하지만 ‘같은, 같을’과 같은 것들은 아직 형용사이기에 앞말과 띄어 써야 한다는 점도 함께 기억해 두자.
천사와 같은 마음씨를 가진 그녀다.
복잡한 것을 본 김에 단어 두 개를 더 보자. ‘감쪽같이’나 ‘똑같이’의 띄어쓰기는 어떨까? 배운 대로 하면 ‘함께’의 의미는 아니니 앞말에 붙여 적는다고 말할 수 있다. 좋은 시도다. 하지만 이 말 안의 ‘같이’는 조사가 아니다. 하나의 단어다.
김남미 홍익대 국어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