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 사진=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이낙연 국무총리는 13일 “법령 개정을 거쳐 내년부터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일을 4월 11일로 수정해 기념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제99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이같이 밝히며 “최근 역사학계는 임시정부 수립일이 4월 13일 오늘이 아니라 국호와 임시헌장을 제정하고 내각을 구성한 4월 11일이므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제안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이 총리는 “정부는 애국선열과 독립유공자의 보훈에도 정성을 다하겠다”며 “일제강점기의 수형기록을 모두 조사해서 이제까지 묻혀 계시던 의병과 독립운동가들을 찾겠다”고 약속했다.
이 총리는 “임시정부를 비롯한 독립운동의 역사도 충분히 발굴, 기록,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그 자랑스러운 역사를 찾고 지키는 일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임시정부에는 남과 북이 없었으나, 해방조국은 남과 북으로 갈라졌다. 조국 분단은 해방 이후 73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길고도 짙은 그림자를 남과 북, 동포 모두에게 드리우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이 총리는 우리가 임시정부 지도자들께 크나큰 빚을 지고 있다며 “선열들께서 목숨과 가산을 내놓으시고 조국독립을 이루게 하신 빚이 있고, 또 하나는 후대인 우리가 조국 분단을 아직도 극복하지 못한 빚”이라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일촉즉발로 대치하던 한반도에 요즘 들어 남북대화의 기회가 겨우 열렸다. 민족 공멸을 초래할 북한 핵을 없애고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면서 언젠가는 평화통일을 이루기를 간절히 기원한다”며 “그렇게 함으로써 임시정부 지도자들께 진 빚을 일부라도 갚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또한 “내년이면 대한민국임시정부 100주년이지만, 우리는 아직 임시정부기념관도 갖지 못하고 있다”며 “늦었지만, 정부는 기념관 건립을 준비하고 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를 오롯이 간직할 기념관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최정아 동아닷컴 기자 cja091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