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1500년 만에 확인한 백제 대통사 터 보존을”

입력 | 2018-05-04 03:00:00

10개 학회, 정부에 대책 촉구
대규모 한옥 예정지 발굴하다 ‘통’ 글자의 일부 찍힌 기와 발견
대통사, 가장 오래된 사찰 꼽혀




2010년 KAIST 연구진이 디지털 기술로 복원한 대통사 모습.


“한반도에서 사찰의 이름, 건립 연대, 장소를 정확히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절인 ‘대통사’를 보존하라.”

백제학회를 비롯한 고고학·역사학 관련 10개 학회가 대통사지를 보존하라는 목소리를 함께 냈다. 이들 학회는 서울 종로구 흥사단 본부에서 3일 기자회견을 열고 ‘1500년 만에 극적으로 나타난 백제 대통사의 온전한 조사와 보존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문화재청과 충남 공주시 등 관련 기관에 절터 보존을 위한 대책을 요구했다.

대통사가 실체를 드러낸 것은 한얼문화유산연구원이 올해 1월부터 진행한 충남 공주시 반죽동 한옥주택 부지 발굴조사 현장에서다. 조사 중 ‘통(通)’ 자의 일부가 찍힌 기와가 발견된 것. 비록 ‘대(大)’자는 깨진 상태지만 일제강점기 조사 당시 발견돼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대통(大通)’ 기와와 같은 모양이었다. 대통은 중국 양나라 무제가 527년에서 529년 사이에 사용한 연호로, 대통사지는 백제 성왕(재위 523∼554년)이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1월부터 진행된 충남 공주시 반죽동 한옥주택 부지 발굴조사 현장에서 ‘통(通)’ 자의 일부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됐다. 일제강점기 인근 지역에서 발견된 ‘대통(大通)’기와(왼쪽 아래)와 유사한 모양으로 학계에선 이 일대를 대통사지(大通寺址)로 보고 있다.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제공


부여 왕흥사나 경주 황룡사 등 국가사찰의 기능을 했던 대형 절에서만 볼 수 있는 ‘치미’(용마루 끝에 설치하는 장식 기와)와 소조불상(진흙으로 빚은 불상) 등이 출토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백제사 연구 권위자인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는 “1500년 만에 대통사의 실체가 드러난 획기적인 발견”이라며 “대통사지 연구를 통해 백제 중흥을 이끈 성왕 시기의 불교사상과 당시 수도인 웅진(공주)의 도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현재 발굴조사가 진행 중인 지역에 대규모 한옥이 들어설 예정이란 것. 또 대통사로 추정되는 인근 지역 대부분에 민간주택이 들어서 있어 대규모 조사가 불가능한 구조다. 이에 학계에서는 문화재청과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이 사적 지정과 토지 매입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권오영 백제학회장(서울대 국사학과 교수)은 “이번에 발굴 허가를 받은 지역은 204m²이지만 안전지대 등을 제외하면 실제 발굴 면적은 100m²에 불과해 대통사 추정 터의 1%도 조사하지 못했다”며 “이 같은 소규모 발굴로는 대통사의 전모를 밝히는 게 불가능한 상태”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지난달 보존조치평가단을 구성해 “유적 보존의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마련하지 않은 상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달 중 열리는 문화재위원회 심의에서 관련 조치를 논의할 계획”이라며 “문화재보존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토지 매입 등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