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용 입체기동 로봇 ‘라오라’ 생산기술연구원, 세계 최초로 개발… 관절 38개 사람 동작 대부분 흉내내 인간이 못하는 공중 ‘슬로 모션’ 가능, “연극의 한계 극복하는 계기될 것”
연극 로봇 시스템 ‘라오라’가 노래를 부르고 있다. 안산=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이런 연극 연출의 한계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로봇 연극배우’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김진영 문화기술그룹장 팀은 중력과 관계없이 자연스러운 입체기동(立體機動)을 할 수 있는 연극용 로봇 시스템 ‘라오라(RAoRA)’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극용 입체기동 로봇을 개발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이 로봇은 약 1년간 2억4000만 원을 투자해 개발했다. 본래 지난해 1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혁신성장동력 챌린지 데모데이’ 행사에서 공개할 예정이었으나 날씨, 준비 상황 부족 등을 이유로 유보됐다. 이후 관련 기술을 가다듬는 한편, 현재 실용화 기술을 추가 연구 중이다.
라오라 개발 과정에선 산업용 로봇팔과 로봇배우, 두 대의 로봇을 완벽하게 연결하고 제어하는 일이 가장 까다로웠다. 공중에서 움직이는 입체기동 과정까지 고려하면 제어 소프트웨어를 짜는 데 2, 3배 이상의 수고가 들어갔다.
덕분에 라오라는 땅에 내려서서, 혹은 공중에 뜨거나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도 모든 동작을 연기할 수 있다. 로봇배우 관절은 모두 38개로, 사람의 동작 대부분을 흉내 낼 수 있다. 연출에 따라 천장을 지면 삼아 거꾸로 매달려 걷는 것이나 구름 속을 날아다니며 노래 부르는 것도 가능할 만큼 전천후 입체기동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극에선 불가능했던, 공중동작을 ‘슬로 모션’으로 연출하는 일도 가능해졌다.
이런 라오라를 뮤지컬 등 역동적인 연출이 필요한 다양한 무대에 적용한다면 기존 문화산업의 한계를 한층 더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 배우와 함께 출연하도록 연출하거나, 장면에 따라 대역 등으로 활용할 경우 무대 연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성일 생기원 원장은 “로봇 기술이라고 하면 산업이나 군사용을 우선 떠올리지만, 문화 분야와 접목한다면 인간의 삶을 한층 더 풍요롭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산=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