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학계의 고조선 인식 변화
북한이 1993년 발굴 조사한 뒤 대리석을 다듬어 조성한 ‘단군릉’. 북한 학계는 고조선이 기원전 30세기부터 약 3000년 동안 세 왕조에 걸쳐 존속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아일보DB
남북 역사 연구·문화재 발굴 교류가 다시금 달아오르지만 고조선에 관해서는 비교적 잠잠한 편이다. 그러나 고조선은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한 나라란 점에서 향후 공동의 역사 인식에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오대양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연구조교수가 ‘고조선사 연구동향―2000년 이후 국가별 쟁점과 전망’(동북아역사재단 발간 예정)에 쓴 ‘북한 학계의 최근 고조선 연구’에 따르면 1990년대 초반까지 북한 학계는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보는 민족주의적 관점에는 ‘반동적’이라며 비판적이었다. 고조선의 위치는 요동이 중심이었다는 게 공식적 견해였다.
그러나 이 같은 인식은 북한이 ‘단군릉’을 발굴 조사한 1993년을 기점으로 완전히 달라졌다. 우리 민족을 단군을 원시조로 하는 단일민족으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단군릉은 평양시 강동군 강동읍 서북쪽의 대박산 경사면에 있다. 북한 학계는 단군릉 내부에서 발견된 남자의 유골이 약 5000년 전 것으로 나타났다며, 실존한 단군의 유골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신빙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1만 년 이내 유물의 측정에 주로 사용되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으로 연대를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한은 그보다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을 측정할 때 쓰이는 방식을 썼다.
오대양 교수는 “대동강문화론은 1990년대 사회주의 체제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위기 극복 수단으로 활용됐다”며 “북한 정권 창설 50주년(1998년)이란 시점에서 체제의 공고화를 위해 마련된 고대사 인식체계”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 학계는 고조선이 멸망한 뒤 설치된 한 군현의 세력은 압록강을 넘지 못했다고 본다. 한 군현의 핵심인 낙랑군의 25개 속현 호구가 기록된 채 평양의 고분에서 출토된 ‘낙랑 목간’은 원래 평양 것이 아니라고 본다. 요동 지역에 있던 낙랑군의 아전이 평양의 ‘낙랑국’으로 망명하며 묻혔다는 것이다. 낙랑 목간은 우리 학계가 낙랑군이 평양에 있었다고 보는 고고학적 증거 중 하나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