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우리 동네 이슈맵]기사 630만건-의회 회의록 10만건 지자체 이슈 4년치 빅데이터 분석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현실은 어떨까. 필자는 지난해 3월 28∼30일 전국 유권자 1009명을 대상으로 정치 성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자들에게 약 20개의 정책 사안에 대한 입장을 물었고 동일한 사안들에 대해 당시 대선에 출마한 주요 후보자들의 입장도 취합했다. 이 조사에서 자신과 정책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후보에게 투표한 유권자는 전체의 약 17.8%에 불과했다. 민주주의 이론이 상정하는 정책투표와는 거리가 멀었던 것이다.
유권자들의 관심이 높은 ‘고관여(High Stimulus)선거’로 분류되는 대통령선거에서조차 ‘정책 선거’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지방선거는 더욱 심각하다. 역대 지방선거는 대통령의 중간평가로서의 의미가 컸다. 따라서 후보자들도 정책공약 개발에 소홀하거나 전략적으로 경쟁 후보와 유사한 공약을 내놓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지방자치단체장들이 가진 권한에 비해 터무니없이 부족한 정보를 가지고 투표장으로 향하는 유권자도 많았다. 1991년 지방자치를 시작한 이후 3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지방선거다운 지방선거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분석 결과가 6·13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낸 후보자들에게는 정책공약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권자들에게는 거주 지역의 현안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볼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의 삶을 바꾸는 것은 정책이다. 민주주의는 정책투표를 통해 구현된다.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