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운전 차보다 사람이 먼저다]스웨덴교통연구소 바베뒤 박사 “정부는 기준만 만들고 권한 이양… 지역 특색 맞는 속도정책 효과”
스웨덴 국립도로교통연구소 안나 바베뒤 박사(사진)는 17일 제주에서 열린 ‘5대륙 국제 교통안전 콘퍼런스’에서 “지자체 중심의 속도 정책이 속도 줄이기의 시작이었다”고 비결을 소개했다. 이어 “중앙정부의 속도 정책이 지자체로 이양되면서 지역 특색에 맞는 정책 시행이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중앙정부는 기준만 제시했을 뿐 지자체가 이동성과 접근성 환경 등을 고려해 제한속도를 정했다는 것이다.
물론 지자체가 제한속도를 높일 수도 있다. 하지만 속도를 높이려면 해당 도로 구간에 보행자 통행이 적거나 거의 없는 걸 입증하도록 했다. 다른 이유는 없다. 오직 안전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건 운전자의 동참이다. 스웨덴은 버스와 화물차 같은 사업용 차량에는 강제로 속도 제한 장치를 부착하도록 했다. 사고가 줄수록 운송 비용을 아낄 수 있다고 적극 홍보했다.
최병호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처장은 “유럽은 제한속도를 어기는 차량 비율이 30%를 넘으면 해당 도로의 속도 정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엄격한 속도 관리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바베뒤 박사는 “스웨덴 정부는 교통사고 사망자를 감소시킨 현 속도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다. 교통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과 홍보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제주=서형석 기자 skytree08@donga.com
공동기획 :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 손해보험협회 한국교통연구원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tbs교통방송
교통문화 개선을 위한 독자 여러분의 제보와 의견을 e메일(lifedriving@donga.com)로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