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가 31일 공론화위원회에 넘길 논의 대상을 발표했다. 지난달 11일 교육부가 반드시 의견을 달라고 요청한 3가지 쟁점 가운데 학생부종합전형(학종)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전형의 비율 조정, 수능의 절대평가 전환 여부를 공론화위에 넘기되 수시와 정시의 통합 여부는 제외해 현행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 대신 수시에서의 수능 최저학력기준 활용 여부를 공론화 대상에 포함시켰다. 앞으로 공론화위는 이해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워크숍을 열어 6월까지 4, 5개의 개편 시나리오를 마련한다. 이어 TV토론회, 권역별 국민토론회, 온라인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한 뒤 7월 말 시민참여단 400명이 설문조사 형식으로 최종안을 결정한다.
학종과 수능 전형의 비율 문제는 지역별 계층별로 생각이 다르고 이해관계도 상충한다. 수도권과 지방, 4년제와 전문대의 현실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김진경 대입특위 위원장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학종과 수능 전형의 적정 비율을 일률적으로 권고하는 것은 쉽지 않다. 지방대나 전문대가 굉장히 곤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도 이 문제를 공론화위에 넘긴 것은 무책임하다.
대입전형이 획일화되면 가장 피해를 보는 것은 대학입시의 주체인 학생과 대학이다. 학생들은 저마다의 다양한 특성과 재능에 맞춰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든다. 대학마다 뽑고 싶은 인재상이 다른데도 대학들은 그렇게 할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