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욱 교수의 ‘너보다 예쁜 꽃은…’, 문인 72명이 딸에게 쓴 한시 소개
박동욱 한양대 교수는 “조선시대의 부녀 관계는 몸은 서로 끊어져 있었지만 아름다운 글을 통해 늘 이어져 있었다”고 말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조선 중기 예조·이조·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던 신정(申晸·1628∼1687). 밖에서는 바르고 엄격한 정사로 칭송받은 그였지만, 집에 돌아오면 영락없는 ‘딸바보’로 변했다. 정치뿐 아니라 시에도 능했던 신정은 딸을 위한 시를 여러 편 남겼다.
실학자 박제가(朴齊家·1750∼1805)는 잦은 밤샘 근무로 집에 돌아오지 못하는 날이 허다했다. 격무에 시달리던 그의 피로를 날려준 ‘자양강장제’는 다름 아닌 딸들의 재롱이었다.
조선은 흔히 엄격한 유교 사상으로 강력한 남아선호사상이 지배적인 사회였다고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당대 아버지들이 딸에게 남긴 글을 보면 이 같은 통념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최근 박동욱 한양대 교수가 낸 ‘너보다 예쁜 꽃은 없단다’(태학사)는 조선 사대부 72명이 딸에게 쓴 한시(漢詩)를 현대어로 풀어 소개했다.
박 교수는 “조선시대에 ‘딸을 낳으면 미역국도 먹지 않았다’는 말처럼, 정말로 그 시대엔 딸에 대한 사랑을 가벼이 여겼는지 의문을 풀고 싶었다”며 “실제 남긴 글을 보면 딸을 향한 애틋한 사랑은 지금과 전혀 다르지 않았다”고 밝혔다.
조선시대 소녀들의 이야기를 담은 동화책 ‘꽃신’(파랑새)의 한 장면. 파랑새 제공
하지만 잘난 딸 하나, 열 아들 부럽지 않다고 했던가. 딸에 대한 자랑스러움을 적극적으로 표현한 한시도 있다. 조선 후기 대사간 등을 지낸 정기안(鄭基安·1695∼1767)의 시를 보자. “아들 낳아도 만일 재주 없다면 세상 뜰 때 제사가 뚝 끊어지고, 딸 낳으면 도리어 좋은 일이 되니”라며 뿌듯함을 드러냈다.
박 교수는 “당대 사회는 여자로서 살아가는 것 자체가 고난의 길인지라 아버지들의 애석함은 더할 나위 없이 컸다는 걸 읽을 수 있다”고 밝혔다.
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