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씨가 루이와 포이를 먹이고 가꾸는 데 쓰는 비용은 한 달에 25만 원 정도. 홍삼이 들어간 사료와 장난감을 사고 털을 손질해 인형처럼 모양을 내는 미용비용에 가장 많은 돈이 들어간다. 그는 이달 말 포이의 생일파티도 계획하면서 친구들 음식보다 이들이 데려올 반려견들의 간식 준비에 더 공을 들이고 있다. 김 씨는 “프리미엄 패딩 브랜드 ‘몽클레르’에서 반려견용 옷이 나와서 올 겨울엔 이 ‘멍클레르’ 패딩을 사줄 계획”이라며 “나한테 쓰는 돈을 줄여서라도 우리 아이들에게 더 좋은 걸 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000만 명을 돌파하면서 반려동물을 위해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펫피(펫 피플·pet people)’들이 크게 늘고 있다. 이들을 겨냥한 ‘펫코노미(펫과 이코노미의 합성어)’ 시장도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다.
● 반려동물에 활짝 열린 ‘펫피’족의 지갑
반면 이들이 본인을 위해 쓴 미용비용은 2013년 2만9200원에서 2015년 3만3300원으로 늘었다가 지난해엔 2만9800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경기침체 등의 여파로 본인을 꾸미는 데 들인 미용비용은 줄였지만 반려동물에게는 더 지갑을 열었다는 의미다. 배한성 삼성카드 커뮤니터센터장은 “이번 통계에 대형마트 등에서 반려동물 용품을 구매한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며 “이를 더하면 반려동물을 위해 쓴 돈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원 씨(33·여)도 4년 전 유기견센터에서 데려온 믹스견 ‘깜리’를 애지중지 키우고 있다. 비싼 용품을 사는 건 아니지만 식비부터 장난감까지 들어가는 돈이 적잖다. 김 씨는 “사료와 간식비로만 매달 5만 원 정도를 쓰고, 꼭 필요한 예방접종과 털 손질 비용까지 더하면 한 달에 10만 원은 이상은 나간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깜리에게 받는 사랑으로 따지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직장인 김지혜 씨(32·여)는 6년차 ‘집사’다. 2012년부터 터키쉬 앙고라종 고양이 ‘보리’를 키우기 시작했다. 그가 가장 신경 쓰는 것은 보리의 건강. 1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게 하고 치석도 제거해준다. 두 달에 한 번씩은 3만 원 짜리 ‘스크래쳐’를 새로 산다. 스크래쳐는 사물을 긁는 고양이의 습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고양이용 장난감으로, 그가 출근한 뒤 혼자 지내는 보리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마련해주는 것이다.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이 소비로”
펫피족이 이처럼 반려동물에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애완동물 대신 반려동물이라는 단어가 보편화된 것처럼 기르는 동물을 가족처럼 보호하고 더불어 살아가야 할 반려자라고 보는 인식이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삼성카드 회원들이 지난해 ‘펫카페’에서 쓴 돈은 2013년 대비 8배를 웃돈다. 이웅종 연암대 교수(이삭애견훈련소 대표)는 “이 수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단순히 반려동물에 쓰는 돈만 늘어난 것이 아니라 같이 보내는 시간이 늘어났다는 증거”라며 “애완견이 반려견으로 바뀐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분석했다.
1인 가구,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반려동물에 더 큰 애착을 느끼는 펫피족이 늘어나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윤가현 전남대 심리학과 교수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심리적 정서적 결속, 즉 ‘애착’을 더 강하게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반려동물과의 애착이 결국 소비로 이어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가족 규모가 작아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인간관계도 갈수록 좁아지고 단순해지고 있다. 이런 인간관계의 변화도 반려동물과의 결속을 강하게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반려동물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가 갈수록 다양해지고 고급화되는 것도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웅종 교수는 “반려동물과 함께 갈 수 있는 곳도, 반려동물을 위해 살 것도 워낙 많아졌다. 좋은 것을 보면 사주고 싶은 마음이 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쑥쑥 크는 ‘펫코노미’ 시장
반려동물 관련 산업이 커지자 애완동물(Pet)과 경제(Economy)를 조합한 ‘펫코노미’라는 신조어도 만들어지며 극심한 경기 침체의 돌파구를 찾고 있는 기업들에 블루오션으로 대접받고 있다.
신세계, 롯데, 빙그레 같은 대기업들은 이런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신세계인터네셔널의 생활용품 브랜드 ‘자주’는 지난달 초 반려동물 용품 브랜드 ‘자주 펫’을 선보였다. 이마트도 ‘몰리스펫샵’을 열고 사료와 간식 등 먹거리부터 분양·미용·숙박에 이르는 서비스상품을 판매 중이다. 롯데백화점도 올해 초 반려동물 컨설팅 매장 ‘집사’를 만들었다. 빙그레는 최근 반려견 전용 우유를 개발해 펫푸드 시장에 뛰어들었다. 빙그레 관계자는 “건국대 수의대와 손잡고 반려동물 전용 유산균주를 만들어 특허를 얻었다”고 소개했다.
참신한 아이디어와 첨단 정보기술(IT)로 무장한 ‘펫 스타트업’도 빠르게 늘고 있다. ‘21그램’은 국내에 정식으로 등록된 동물 장례업체 26곳을 반려인들에게 연결해주고 있다. 장례비용 결제부터 유골함 같은 장례용품 구매까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다.
‘페오펫’은 반려동물을 분양할 때 문제가 됐던 불투명한 거래 구조를 개선했다. 반려동물 전문 양육사와 반려인을 연결해주고 양육사의 정보와 강아지 건강상태 등을 공개해 안심하고 반려동물을 분양받을 수 있게 했다. ‘골골송작곡가’는 반려묘의 배설물을 청소해주는 ‘라비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반려묘 화장실 청소뿐 아니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배설 횟수, 시간, 모래 저장량 등을 관리해준다.
김성모 기자 mo@donga.com
▼펫피족을 위한 맞춤형 금융상품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고 아낌없이 돈을 투자하는 ‘펫피(펫 피플·pet people)’들이 늘면서 이들을 겨냥한 금융상품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주요 은행과 카드, 보험사들이 다양한 패키지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KB금융그룹이 대표적으로 ‘KB펫코노미 패키지’를 판매하고 있다. 펫코노미는 반려동물의 ‘펫’과 ‘이코노미’의 합성어로,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필요할 만한 맞춤형 금융상품을 골라 패키지로 담았다.
패키지는 스마트폰 전용 적금인 ‘KB펫코노미 적금’과 동물병원과 반려동물 관련 업종에서 할인을 해주는 ‘KB국민 펫코노미 카드’에다 반려동물 주인이 사망하면 은행이 새 부양자에게 양육 자금을 지급하는 ‘KB펫코노미 신탁’으로 구성됐다. 패키지를 설계하기 위해 KB금융은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양육 실태와 금융 수요를 설문조사했다.
IBK기업은행은 반려동물 사진을 카드에 인화해 발급해주는 ‘참! 좋은 카드’를 내놓았다. 동물병원과 반려동물 업종, 주요 대형마트 등에서 할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신한은행은 ‘위드펫 적금’을 판매하고 있다. 반려동물의 QR코드를 등록하거나 영업점에서 동물 등록증을 제시하는 등의 조건만 충족하면 기본금리 연 1%에 우대금리를 최대 1% 얹어주는 상품이다. 1년 만기로 매달 최대 30만 원 한도로 납입할 수 잇다.
펫피를 잡기 위한 보험업계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현대해상의 ‘하이펫애견보험’은 애완견의 상해사고와 질병에 대해 1회당 100만 원 한도로 500만 원까지 보상해준다. 특약에 가입하면 애완견의 피부질환 등에 대해서도 보상받을 수 있다.
롯데손해보험은 반려견과 반려묘를 함께 보장하는 ‘롯데마이펫보험’을 내놓았다. 수술비와 입원비를 보장하는 ‘수술입원형 상품’과 통원 진료까지 보장하는 ‘종합형 상품’으로 이뤄졌다. 반려견이나 반려묘가 7세가 되기 전에 신규 가입한 뒤 계약을 갱신하면 11세까지도 보장받을 수 있다.
삼성카드는 펫피를 겨냥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아지냥이’를 선보였다. 반려동물을 키우거나 관심 있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정보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온라인 소통 공간으로, 지난달 초 회원 수가 27만 명을 넘어섰다. 이 앱에서는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정보와 수의사와의 일대일 무료상담, 양육 팁, 펫 전용 모바일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지난해 15세 이상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반려동물 양육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3분의 2나 됐다. 설문 대상자의 30.9%는 현재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고, 33.6%는 과거에 반려동물을 키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응답자 중 대부분이 강아지(82.5%)와 고양이(16.6%)를 기르고 있었다. 강아지 중에서는 몰티즈(31.4%) 푸들(18.1%) 시추(10.6%) 순으로 많이 기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강유현 기자 yhk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