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하 기자
주성하 기자
김정은도 집권 7년째에 문을 열고 나와, 전국을 휘젓고 다닌 허생처럼 남쪽에도 오고 중국에도 갔다. 시골 선비인 줄 알았는데, 지금까지 카메라 앞에서 보여준 행동거지, 임기응변은 외교 신인답지 않다.
12일 세기의 북-미 정상회담으로 김정은이 판을 짠 외교 행보는 설계대로 화룡점정을 찍었다. 이 과정에서 김정은은 ‘운전자’가 되고 싶은 문재인 대통령을 적절한 시점에 두 번이나 활용했고, 북-미 ‘빅딜’에 불안감을 느끼는 중국 대륙의 황제도 두 번이나 찾아가 안심시켰다. 두 달 동안 네 차례의 숨 가쁜 정상회담을 연 끝에 드디어 세계 최강국 미국의 수뇌와 마주 앉는 데 성공했다.
김정은은 원했던 합의문뿐만 아니라 많은 것을 함께 얻었다. 특히 이미지 세탁에 성공했다. 지난달 25일 김정은과 만난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이 한국에서도 아주 인기가 많다”고 말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4·27 남북 정상회담 전후로 대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김정은에 대한 긍정 이미지는 회담 전 4.7%에서 약 10배인 48.3%로 급증했다. 부정적 이미지는 87.7%에서 25.8%로 크게 감소했다.
이것만으로도 김정은은 충분히 자신감을 가질 만하고, 뿌듯한 느낌이 들 것이다. 하지만 지금이야말로 자신이 왜 이 길을 떠났는지, 출발선에 선 심정으로 되돌아볼 때이다. 이번 결행의 목적이 이미지 세탁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인정을 받기 위한 건 아닐 것이다. 가난한 북한과 자신의 미래를 바꾸기 위해 떠난 길일 것이다.
김정은의 희망대로 북한을 발전시키려면 이제 외부 투자를 받아야 한다. 핵까지 내놓은 진짜 이유가 바로 이걸 위해서다. 하지만 남의 돈은 좋은 이미지만으론 절대 받을 수 없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투자를 받으려면 성공에 대한 확신과 함께 나를 믿어도 된다고 투자자를 이해시켜야 한다. 특히 가진 것이 없을수록 투자자의 신뢰를 진실된 마음으로 얻어내야 한다.
북한보다 더 가난했던 1960년대에 가난한 조국을 후대에 물려주지 않겠다는 집념으로 가득했던 한국의 40대 지도자가 바로 그랬다. 1963년 서독을 방문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총리를 만나 호소했다.
“우리 국민 절반이 굶어 죽고 있다. 빌린 돈은 반드시 갚는다. 도와 달라. 우리 국민 전부가 실업자다. 라인강의 기적을 우리도 만들겠다.”
진심은 통한다. 광복 후 최초의 차관(借款)을 주었던 서독은, 박정희와의 만남 이후엔 담보도 필요 없는 막대한 추가 지원으로 고속성장의 밑천을 마련해 주었다.
1960년대 한국의 구세주가 ‘라인강의 기적’을 이뤘던 서독이었다면 오늘날 북한의 구세주는 ‘한강의 기적’을 만든 동포의 땅 한국이 될 것이다. 남쪽의 많은 사람이 김정은의 이미지가 아닌 진심에 감동할수록, 한국은 큰 내부 갈등이 없이 북한 발전의 최대 후원자가 될 것이다.
이제 박정희의 눈물을 김정은이 흘려야 하고, 박정희의 길을 김정은이 가야 한다.
“김정은은 나라를 아주 많이 사랑하는 유능한 사람”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평가가 맞는다면, 북-미 회담의 다음 행보로 그가 한국 언론 앞에 나서길 바란다. 단독 회견이든, 기자회견이든 상관없다. 그 자리에서 남한 국민을 향해 이렇게 호소해야 한다.
“북한은 가난하다. 도와 달라. 한강의 기적을 우리도 만들겠다.”
주성하 기자 zsh7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