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은 ‘임팩트 저널리즘 데이’]동아일보가 전한 쓰레기 재활용 해법 업사이클링 제품 ‘컨티뉴’의 도전
서울 성동구 새활용플라자에서 최이현 모어댄 대표가 ‘컨티뉴’ 백팩과 지갑 등을 배경으로 누워 활짝 웃고 있다. 최 대표가 덮고 있는 가죽 시트는 가방 장인의 손을 거쳐 백팩으로 재탄생한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약 230m² 넓이의 창고에는 약 20t 분량의 차량 가죽 시트가 거의 2m 높이만큼 가득 쌓여 있었다. 폐차장에서 받아온 가죽, 차량 시트를 개발하는 연구소에서 받아온 연구용 가죽, 차량 시트를 재단하고 남은 자투리 가죽 등 종류가 다양했다.
지난달 1일 경기 고양시 모어댄 가죽 시트 보관 창고에서 한 직원이 가득 쌓인 폐차 가죽을 정리하고 있다. 고양=위은지 기자 wizi@donga.com
2015년 6월 5일, 환경의 날에 설립된 주식회사 모어댄은 폐자동차에서 수거한 가죽 시트, 안전벨트, 에어백 등을 이용해 가방, 지갑 등 액세서리를 만드는 업사이클링 업체다. 쓰레기 매립장에 그대로 묻혔을 차량 폐기물들이 가방 장인의 손을 거쳐 프리미엄 가죽 백팩 및 지갑 브랜드 ‘컨티뉴’로 재탄생한다.
○ ‘가방이 된 자동차’
모어댄을 설립한 최이현 대표(37)는 영국 유학 시절 창업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는 “정말 아끼던 차가 있었는데 주차해 놓은 사이 누군가 뒤에서 심하게 받고 도망을 가 폐차해야 할 상황이었다”며 “너무 아까워서 차량 시트를 뜯어와 집에서 소파처럼 사용했다”고 말했다. 그는 “디자인을 공부하던 친구들이 이걸 보고는 ‘가죽이 정말 좋다’며 다른 걸 만들어 보라고 해서 그때 가방을 만들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영국 리즈대에서 공부했던 최 대표의 석사 논문 주제도 ‘한국 자동차 업계의 사회적 책임’이었다. 그는 “업계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400만 t의 자동차 폐기물이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의 환경오염 문제를 이야기할 때는 매연 문제를 떠올리지 폐기물 문제를 언급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의자 가죽 시트, 안전벨트, 에어백 등 재활용되지 않는 폐차 쓰레기를 이용해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게 하나의 솔루션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2013년 말 귀국한 최 대표는 이듬해부터 본격적으로 창업을 준비하며 폐차장을 돌아다녔다. 폐차장 사장들은 ‘차량 시트를 달라’는 부탁을 들은 척도 하지 않거나 터무니없는 가격을 내고 가져가라며 코웃음을 쳤다. 주변에서도 ‘프라이탁’처럼 비슷한 제품이 이미 있지 않느냐는 회의적인 반응도 적지 않았다. 직접 전문가에게 평가받고 싶어 2014년 소셜벤처 경진대회에 나가 장려상을 받았다. 큰 상은 아니었지만 사업의 가능성을 봤다. 팀원을 모아 2015년 6월 모어댄을 창업했다.
창업 후 8개월 만인 2016년 2월 백팩 100개를 시범적으로 만들어 판매했는데 사흘 만에 다 팔렸다. 소비자들의 반응은 뜨거웠지만 당장 가방을 더 만들어 낼 여건이 안 됐다. ‘제대로 해야겠다’는 생각에 가방 대량 생산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했고 같은 해 9월에 10개의 제품을 선보였다. 가방을 구매한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성비가 좋다’는 호평이 이어졌고, 지난해 10월 인기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의 리더 RM이 모어댄의 컨티뉴 백팩을 멘 사진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면서 ‘착한 가방’으로서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올해 3월 김동연 경제부총리도 컨티뉴 백팩을 구매했다. 지금은 약 70개 종류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고, 올해 들어 월 매출 2억 원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최 대표는 “우리 가방의 품질만큼은 어디서나 인정받는다”고 자신했다. 양질의 가죽을 재활용해 수작업으로 가방을 만들기 때문이다. 차량용 시트에 사용하는 천연 가죽은 일반 가죽보다 4배 비싸다. 사람이 매일 앉아야 하니 내구성이 강하고 생활 방수도 된다. 구김이 가지 않은 의자 등 쪽 가죽과 헤드레스트(머리 받침 부분)를 사용한다. 수거된 가죽들은 세척-다림질-분류 등의 과정을 거쳐 국내 유명 가방을 제작하는 공장에 전달한다. 그곳에서 가방 장인들이 수작업으로 가방을 만든다. 재료 준비 2개월, 가방 생산 2개월. 하나의 백팩을 만들기 위해 총 4개월이 걸린다.
버려질 뻔한 가죽을 재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죽 제품에 따라 붙는 동물 학대 논란에서도 자유롭다. 보통 가죽을 염색할 때는 다량의 화학약품이 사용되고, 냄새가 심해 물 세척을 대여섯 번 정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컨티뉴’ 제품에 사용되는 가죽은 따로 염색을 하지 않고 가죽의 원래 색상을 살린다. 가죽에 밴 담배 냄새 등을 지우기 위해 베이킹 소다, 울샴푸 등을 이용한 세제로 가볍게 한 번 물 세척을 할 뿐이다. 최 대표는 “백팩 하나를 만들 때 물 1642L가 절약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가방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자투리 가죽도 다시 재활용한다. 최 대표는 “쓰레기를 없애기 위해 만든 가방인데, 가방을 만드는 과정에서 또 쓰레기가 나온다는 걸 알았다”며 “가방을 만들고 남은 자투리 가죽으로 재생 가죽을 만들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자투리 가죽을 분쇄해 라텍스와 섞어 압축해 천을 뽑아내듯 가죽 원단을 만들어 낸다. 이외에도 안전상의 이유로 차에 재사용하지 못하는 에어백·안전벨트도 가방 제작에 활용한다. 나일론 소재의 에어백은 여름용 백팩에, 쉽게 끊어지지 않는 안전벨트는 가방끈으로 쓴다.
○ 탈북민·경력단절여성에게도 일할 기회를
모어댄의 철학 중 하나인 ‘쓸모없는 것에서 쓸모 있는 것으로(useless to useful)’는 자동차에만 적용된 것이 아니다. 최 대표는 “자신이 사회에서 쓸모 있는 사람이라는 걸 증명할 기회조차 받지 못하는 고용취약계층에 기회를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고용취약계층 중에서도 직업의 선택 폭이 가장 한정적인 이들 중 하나가 탈북민이다. 그는 “특히 새터민(탈북민) 여성들은 공장에서 일하기도 어려워 취업 기회가 극히 제한된다”고 말했다. 탈북민을 돕는 비영리기관들로부터 추천을 받아 면접을 통해 현재까지 탈북민 여성 2명을 채용했다. 두 명 모두 매장에서 판매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경력단절 여성에게도 기회를 주고 있다. 2명을 파트타임으로 고용했다. 그는 “매장 운영의 경우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경력단절 여성들도 오전에 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모어댄의 꿈은 글로벌 시장 진출이다. 지금까진 희망적이다. 7월 제주공항 면세점에서 판매를 시작하고, 올해 안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팝업 스토어를 열 계획이다. 그는 “우리의 솔루션은 어느 나라에서도 접목 가능하다. 가죽 시트 폐기물 처리는 자동차 회사의 영원한 숙제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양=위은지 기자 wiz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