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개편, 부동산 시장 영향은
3일 대통령 직속 재정개혁특별위원회의 종합부동산세 개편 권고안이 발표됐지만 부동산 시장은 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지난달 발표된 4가지 개편 시나리오 중 다주택자에게 더 높은 세율을 부과하는 방안이 제외되면서 당장은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쏠림현상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하반기(7∼12월) 대출금리 인상, 입주물량 증가 등 추가 악재로 인한 부담이 더 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양지영 R&C연구소장은 “1, 2년 전 주택을 사들인 투자자들이 세금을 더 내야 하는 데다 대출이자 부담까지 커지면 매물을 내놓을 수 있다. 기존 매물도 적체된 상황에서 추가 매물이 쌓이면 서울 아파트도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이번 권고안이 다주택자들을 압박해 물량을 내놓게 할지는 미지수다. 집을 팔자니 양도소득세 강화 때문에 세금이 많이 나오고, 갖고 있자니 종부세 등 보유세가 많이 나오는 상황이다. 서울 등 투기과열지구와 청약조정대상지역에선 4월부터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가 시행됐다.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려고 해도 8년 장기 임대, 공시가격 6억 이하 주택 등 관련 혜택을 볼 수 있는 기준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금을 줄이기 위해 부동산 증여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주택을 여러 채 보유한 자산가들은 분산 효과를 위해 자녀나 배우자에게 증여하는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보유세를 올리면 그만큼 취득세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앞서 재정개혁특위는 지난달 종부세 강화안 토론회에서 “효율성과 형평성을 위해 취득세를 점진적으로 낮출 필요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주애진 기자 ja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