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간신경종
족저근막염 통증이 발바닥 중앙에서 뒤꿈치 사이에 나타난다면 지간신경종은 앞발바닥과 발가락 부위에서 저림 증상이 나타난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걷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명약이라고 했다. 걷는 것은 모든 운동의 기본이며 심혈관 및 근골격계 강화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조금만 걷다 보면 찌릿찌릿해 오는 발바닥 통증, 만성적인 발바닥 통증을 앓고 있는 현대인이 적지 않다.
발바닥 통증이라 하면 흔히 족저근막염을 떠올린다. 그러나 지간신경종 역시 진단율이 높은 족부질환 중 하나다. 아시아 최초의 국제 족부 SCI급 학술지 FAI 편집위원과 대한족부족관절학회장 역임과 40편 이상 논문 게재 등 족부수술 권위자로 꼽히는 주인탁 연세건우병원 박사는 족저근막염과 지간신경종의 구분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교정절골술 재발률 2% 미만
지간신경종은 크기에 따라서 경도, 중등도, 중증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경도 단계에서는 약물 주사, 중족골 패드, 신발 교정, 체외 충격파 등을 통해 신경압박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보존치료에 증상 호전이 없고 신경종 크기가 큰 경우 수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지간신경종 수술은 신경종 제거술, 인대 유리술과 신경 감압술로 진행된다. 하지만 신경 제거술은 신경종 제거 후 발가락 감각이 무뎌지는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고 신경 감압술은 감압이 불충분하게 됐을 때 증상의 지속 및 신경종 주위 흉터 조직의 증식, 유착 등의 합병증 문제가 생긴다.
학계에 따르면 일반적 신경 절제술과 감압술 후 재발률은 최소 5%에서 최대 25%이다. 그러나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연세건우병원 족부수술팀에서 발표한 교정절골을 통한 지간신경종 수술 환자의 재발률은 2% 미만이었다.
무지외반증과 동반되기 쉬운 지간신경종
무지외반증 환자의 경우 지간신경종이 동반된 경우가 많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돌출되는 질환이다. 주 박사는 “무지외반증 환자는 튀어나온 엄지발가락뼈가 아파서 무의식적으로 엄지발가락에 힘을 주지 않고 걷는다. 몸무게가 자연스레 검지·중지·약지 발가락 쪽으로 쏠리고 신경이 눌려 지간신경종이 동반된다”고 설명했다.
정지혜 기자 chia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