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에 직격탄을 맞은 곳은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어 중국에 수출하는 기업들이다. 10일(현지 시간)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테슬라와 BMW, 메르세데스벤츠, 볼보 등 미국에서 생산해 중국 수출 물량이 많은 기업들이 어려운 선택에 직면하게 됐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연간 자동차 판매량은 2420만 대로 세계 최대 시장으로 꼽힌다.
이달 6일부터 중국은 미국산 차량에 대해서만 관세를 기존 25%에서 40%로 올리기로 했다. 반면 미국 외 다른 국가에서 수입된 차에 대해서는 일부 관세를 내리기로 했다. WSJ는 “유럽에서 중국에 온 포르셰 가격은 7% 싸지고 미국에서 온 벤츠 BMW 가격은 15%가량 비싸지는 격”이라고 전했다. 루츠 메스케 포르셰 최고재무책임자(CFO)는 WSJ에 “미국에서 제조된 차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테니 (유럽에서 만드는) 우리에게 유리한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독일 BMW그룹도 9일 중국 투자 확대 계획을 밝혔다. BMW그룹은 보도자료를 통해 “중국 파트너 브릴리언스 오토모티브와 2019년까지 중국 현지 생산량을 52만 대까지로 늘리고 전기차 iX3를 중국에서 생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발표는 리커창 중국 총리의 독일 방문에 맞춘 것이지만 미국에서는 당장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위치한 BMW 스파르탄버그 공장 물량이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지난해 스파르탄버그 공장에서 생산된 총 38만5900대 중 8만7600대가 중국에 수출됐다. BMW는 “미국 공장의 해외 이전 계획은 없다”고 밝혔지만 중국 수출용 생산물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한국 자동차업계도 대책 마련에 분주한 상태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직접적 피해보다 불확실성이 커진 것이 문제라는 분위기다. 당장 미국의 자동차 관세 25% 부과 조사도 시급한 문제다. 이 때문에 최근 현대자동차그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주도했던 김종훈 전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특별자문 역할로 영입했다. 미국에서 시작된 무역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대책과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우선 이달 19, 20일 미국에서 열리는 자동차 관세 관련 공청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국내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FTA 체결을 확대하던 추세에서 갑자기 보호무역 중심의 무역 갈등으로 치달으니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 자동차업계도 대책 마련에 고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