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 오버투어리즘 몸살
‘관광객 여러분. 당신의 호화로운 여행이 우리에겐 일상의 고통입니다.’
바르셀로나 시내가 내려다보이는 스페인의 유명 관광지 구엘공원 담벼락에 낙서처럼 적혀 있는 글이다. 세계 각지에서 몰려드는 관광객들 때문에 지역 주민들이 겪는 고통을 대변하는 메시지다. 지난 한 해에만 외국 관광에 나선 인구는 13억 명. 관광객들이 도시를 점령하면서 지역 주민의 불만은 쌓여가지만 그렇다고 돈이 되고 일자리를 제공하는 관광산업을 포기하기도 힘들다. ‘황금 알을 낳는 거위’라고도 불리는 관광산업이지만 ‘오버투어리즘’에 따른 세계 관광 도시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2일 프랑스 파리 루브르박물관 드농관 711번.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걸작 ‘모나리자’가 걸려 있는 이 방은 입구부터 사람들로 꽉 차 들어가기 힘들었다. 그림 양옆으로 2명의 경비원이 앉아 관람객들을 통제했지만 그림을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에서 보려는 사람들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바캉스 기간인 7, 8월이면 반복되는 일이다.
프랑스는 오버투어리즘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파리 루브르박물관(연간 방문객 810만 명)과 에펠탑(650만 명), 파리 근교 베르사유 궁전(700만 명), 북부 노르망디 지역의 수도원 몽생미셸(250만 명), 중부 루아르강 근처의 샹보르성(100만 명) 등이 대표적이다.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는 최근 “프랑스가 ‘황금 알을 낳는 거위’의 딜레마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관광객들이 프랑스에 부를 안겨주는 황금 알이지만 이를 그대로 뒀다가는 정작 거위를 죽게 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파리를 찾는 관광객들이 보고 싶어 하는 여행지의 80%가 센강변에 몰려 있어 여름 바캉스 기간 이 지역은 관광버스와 관광객들로 북새통이다. 하루 3만 명씩 몰려드는 노트르담 대성당이 있는 시테섬은 주민들이 거의 다 빠져나가고 음식점과 기념품 가게만 남았다.
관광 도시들은 해법 마련에 애쓰고 있다. 프랑스는 두 달 전부터 에펠탑 단체 입장표를 사는 건 프랑스 관세청에 등록한 법인만 가능하도록 했다. 프랑스의 베르사유궁은 시기별, 시간대별로 입장료에 차이를 두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페루의 마추픽추, 인도의 타지마할도 방문객 수를 제한하고 있다.
여행객들이 부담해야 할 비용을 늘린 경우도 있다. 마요르카섬이 있는 스페인 발레아레스주 정부는 올 5∼10월 여행세를 부과한다. 5성급 호텔에 묵으면 하루에 4유로(약 5300원), 4성급은 3유로(약 4000원)를 내야 한다.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은 관광객 유치를 위한 여행지 홍보 자체를 중단했다.
연간 방문 관광객이 3000만 명에 이르는 바르셀로나는 지난해 ‘관광객은 집으로 가라’고 외치는 복면 시위대가 등장할 정도로 오버투어리즘에 따른 주민 반발이 심하다. 이 때문에 아다 콜라우 바르셀로나 시장은 호텔 신축 허가를 내주지 않고 숙박 공유업체가 연간 90일 이상 방을 빌려줄 경우 3만 유로(약 3960만 원)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규제를 강화했다.
하지만 돈이 되고 일자리 창출로도 연결되는 관광산업에 무작정 제한만 둘 수는 없다는 데 각국의 고민이 있다. 관광산업은 프랑스 국내총생산(GDP)의 7.2%를 책임지고 고용의 10%를 해결해 주고 있다.
::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 ::
‘오버(over)’와 ‘투어리즘(tourism·관광)’이 결합된 말로 수용 범위를 넘어서는 관광객이 몰려들면서 도시 환경과 문화재 파괴, 주민 불안, 주거난 등의 부작용이 생기는 현상을 뜻한다. 파리, 바르셀로나, 암스테르담, 베네치아 등의 도시들이 오버투어리즘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파리=동정민 특파원 ditto@donga.com